2014년 1월 19일 일요일

스프링프레임워크3.X MVC,ApplicationContext(Spring Freamework3.X)[재직자무료교육/프로그래머교육/구로디지털IT교육,오라클/자바/닷넷/C#/iOS/안드로이드/아이폰교육]

스프링프레임워크3.X MVC,ApplicationContext(Spring Freamework3.X)[재직자무료교육/프로그래머교육/구로디지털IT교육,오라클/자바/닷넷/C#/iOS/안드로이드/아이폰교육]

1. ApplicatiuonContext
 
 DispatcherServlet 설정파일에는 스프링 MVC 컴포넌트와 관련된 <bean>정의를 포함
 서비스 계층(onj-service.xml)과 데이터 계층(onj-data.xml)에 속하는 빈 역시  DispatcherServlet의 설정파일에 포함할 수 있지만 별도의 설정파일을 두는 것이 좋음.
 설정파일들이 모두 로드 되도록 하기 위해 컨텍스트 로더를 설정
 컨텍스트 로더는 DispatcherServlet이 로드하는 것 이외의 컨텍스트 설정파일을 로드
 ContextLoaderListener를 web.xml에 설정

<listener>
<listener-class>
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
</listener-class>
</listener>

설정파일의 위치를 알려주지 않으면 /WEB-INF/applicationContext.xml이라는 스프링 설정 파일을 찾는다. 서블릿 컨텍스트에 contextConfigLocation이라는 파라미터를 설정하면, 컨텍스트 로더가 로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설정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contex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
/WEB-INF/onj-action.xml</param-value>
</context-param>
 
 
  • 자바
  • 오라클/빅데이터
  • 아이폰/안드로이드
  • 닷넷/WPF
  • 표준웹/HTML5
  • 채용/취업무료교육
  • 초보자코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