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31일 금요일

[스프링3트랜잭션강좌]스프링프레임워크의선언적Transaction방법2가지및속성(TransactionAttributes),spring framework3.X transaction, 스프링프레임워크교육, spring framework 교육강좌

[스프링3트랜잭션강좌]스프링프레임워크의선언적Transaction방법2가지및속성(TransactionAttributes),spring framework3.X transaction, 스프링프레임워크교육, spring framework 교육강좌
 
PROPAGATION(전달행위(필수)),ISOLATION(격리레벨(선택)),readOnly(읽기전용(선택)),-Exception,+Exception(Rollback 규칙(선택))

RollBack 규칙
 
Spring 프레임워크 트랜잭션의 디폴트 설정은 RuntimeException 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Rollback, CheckedException 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Commit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트랜잭션의 속성을 지정할 때 Rollback 규칙을 이용하여 디폴트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Rollback 규칙에서 마이너스(-)로 시작하는 Exception 에 대해서는 무조건 Rollback, 플러스(+)로 시작하는 Exception 에 대해서는 무조건 Commit 되도록 규칙을 변경할 수 있다.

[스프링의 선언적 트랜잭션 처리 방법]

AOP를 이용하여 선언적 트랜잭션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다.
1. XML Configuration - 스프링의 빈 설정파일에 <tx:advice> <aop:config> 등의 태그를 사용하여 설정.

2. Transactional Annotation - 해당 메소드에 @Transactional Annotation을 추가하여 설정.(@Transactional)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