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오라클강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오라클강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0월 31일 목요일

[자바강좌]JAVA Method Overring(자바 메소드 재정의) 상위 클래스의 인스턴스 메소드를 새로 구현함으로써 ...

 [자바강좌]JAVA Method Overring(자바 메소드 재정의)
 
상위 클래스의 인스턴스 메소드를 새로 구현함으로써 외부에 다른 반응양식을 보일 수 있다
메쏘드 재정의를 하기위해서 메쏘드 이름, 매개변수개수, 타입, 리턴형이 같아야 한다.
객체의 타입과 관계없이 참조값(reference)이 가리키는 실제 객체 자료형의 메쏘드가 선택되어 런타입중 실행
실제 자료형에 메쏘드가 없으면 가장 가까운 상위 클래스의 메쏘드가 실행된다.
상위 클래스보다 접근 제어를 강화할 수 없다
상위 클래스에 public으로 되어있는 함수를 하위 클래스에서 private으로 할 수 없다.
 

[예제]
 
package onj;
class A1 {
 public void m(int i) {
  System.out.println("A1의  m(int)");
 }
 public void m(double f) {
  System.out.println("A1의  m(double)");
 }
}
class B1 extends A1 {
 //A1의 m(int i) 재정의
 public void m(int i) {
  System.out.println("B1의 m(int)");
 }
 //method overloading(매개변수의 개수를 변화줌)
 public void m() {
  System.out.println("B1의 m()");
 }
}
class Overrid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1 a = new A1();
  a.m(1); // A1의 m(int)가 호출됨
  B1 b = new B1();
  b.m(1);     // B1의 m(int)가 호출됨
  b.m(1.0);   // B1에는 m(double d)이  없다, 상위클래스 A1의 b.m(double d) 호출
  
  A1 c = new B1();
  c.m(1);   // 마지막으로 재정의된 메쏘드 B의 m(int)가 호출됨
  //c.m(); // 컴파일오류: 자료형 A1에는 메쏘드 m()이 정의되어 있지 않음.
 
 }
}
 
[결과]
 
A1의  m(int)
B1의 m(int)
A1의  m(double)
B1의 m(int)

2013년 10월 3일 목요일

오라클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하기

오라클에서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하기...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은 alter user를 통해 하는 방법과  SQL*Plus로 로그온 한 상태에서 password 를 입력 함으로서 (Unib/Linux에서 사용자 비밀번호 변경과 비슷하게) 변경이 가능 합니다. 

아래의 실습을 보고 이해 하도록 하죠... 


SQL> connect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SQL> password
SCOTT에 대한 암호를 변경합니다
이전 암호: *****                  <-- tiger
새로운 암호: **                    <-- t1
새 암호 다시 입력: **            <-- t1
암호가 변경되었습니다

SQL> connect scott/tiger
ERROR:
ORA-01017: invalid username/password; logon denied


경고: 이제는 ORACLE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SQL> connect scott/t1
연결되었습니다.
SQL>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tiger;

사용자가 변경되었습니다.

SQL> connect scott/t1;
ERROR:
ORA-01017: invalid username/password; logon denied


경고: 이제는 ORACLE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SQL> connect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2013년 8월 16일 금요일

오라클 Optimizer Mode Setting 방법

오라클 Optimizer Mode Setting 방법

대한민국오라클학원/오라클학원/오라클교육/오라클강의/구로 오라클/가산오라클/오라클강


--------------------------
1.        Instance 수준의 셋팅 방법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중심!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 SQL, 튜닝, 자바, 스프링, Ajax, jQuery,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C#, ASP.Net)   www.onjprogramming.co.kr 


-        DB의 설정 파일(initSID.ora or spfileSID.ora)에 전체적으로 적용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이며 다음과 같이 기술하며 OPTIMIZER MODE는 REUL, CHOOSE, ALL_ROOWS, FIRST_ROWS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CHOOSE인 경우 한테이블이라도 Analyzed되어 있는 경우엔 비용기반 접근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며 RULE인 경우 규칙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 ALL_ROWS인 경우 비용기반 옵티마이저의 한 방법이며 모든 ROW들을 처리한다고 할 때 그 비용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실행계획을 수립하며,  FIRST_ROWS인 경우엔 최초 ROW를 추출하는데 드는 비용을 최소화 하도록 실행 계획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        예) OPTIMIZER_MODE=FIRST_ROWS

-        만약 initSID or spfileSID.ora에 아무 내용도 정의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CHOOSE 방식이 됩니다.

-------------------------
2.        Session 수준의 셋팅 방법
-------------------------

-        alter session이라는 명령을 이용하면 현재 접속된 세션 레벨에서 옵티마이저 모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예) alter session set optimizer_goal=rule 앞과 같이 정의하면 해당 세션이 끝나기 전까지는 규칙 기반(,RULE-BASED) 옵티마이저 모드를 이용하게 됩니다.

--------------------------
3.        Statement 수준의 셋팅 방법
--------------------------

-        힌트(Hint) 구문을 이용한다면 매 SQL 문장마다 서로 다른 옵티마이저 모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예) SELECT /*+ FIRST_ROWS */
                          ENAME,
                          SAL,
                          JOB
              FROM EMP
              WHERE SAL > (SELECT MAX(SAL)
                                    FROM  EMP
                                    WHERE DEPTNO = 10)

2013년 8월 2일 금요일

자바 상속을 이용한 Adapter 패턴 예제 (java adapter pattern)


안녕하세요~ 오라클자바커뮤니티(www.oraclejavacommunity.co.kr) 입니다.
<"자바 디자인 패턴에 입문" 에 나와 있는 사례소개 합니다.>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상속을 이용한 Adapter 패턴 예제

이미 제공 되는것과  필요로 하는것과의 사이에서 그 사이를 메꾸어 주는것이  Adapter의 역할
 Adapter 패턴은 Wrapper 패턴이라고도 한다.
 Adapter 패턴은 기존의 클래스를 이용해서 필요한 클래스를 만든다.  기존의 것과 필요한 클래스가 기능이 차이가 많은 경우에는 Adapter 패턴을 이용할수 없다. 물론 기존 클래스의 소스는 필요없다.
 Adapter 패턴은 기존버전과 새버전을 공존시키면서 S/W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해 준다.
 Adapter 패턴에는 Class에 위한 Adapter 패턴(상속이용)과 인스턴스에 의한 Adapter 패턴(위임이용) 두가지 형태가 있다.




이 예제는 기존에 제공되는 Class의 기능(주어진 문자열을 출력)을 이용하여 양쪽으로 괄호를 붙여 출력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이미 제공되는것은 Banner Class이며 필요한것은 Print 인터페이스이고 교환장치(Adpater)는 PrintBanner Class이다.


//Banner.java
public class Banner {
private String str;
public Banner (String str) {
this.str = str;
}
public String  showString() {
return str ;
}
}
//Print.java
public interface Print {
public abstract String printString();
}
//PrintBanner.java
public class PrintBanner extends Banner implements Print {
public PrintBanner (String str) {  super(str);  }
public String  printString() {
return "(" + showString() + ")";
}
}
//Main.java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Banner p = new PrintBanner("hello"); ?
//만약 PrintBanner의 고유의 메소드가 있다면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Print p = new PrintBanner("hello");
System.out.println(p.printString());
}

[oracle hint]조인 방법 변경(USE_HASH) , 오라클힌트강좌,오라클실무전문교육,오엔제이프로그래밍

Hint]조인 방법 변경(USE_HASH)
 
구로디지털 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해시 조인(Hash-Join)은 두 테이블 중 하나를 기준으로 비트맵 해시 테이블을 메모리에 올린 후 나머지 테이블을 스캔 하면서 해싱 테이블을 적용하여 메모리에 로딩된 테이블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 입니다.
 
성능을 위해서는 당연히 사이즈가 작은 테이블이 메모리에 올라가는 것이 좋은데 이때 이 테이블을 드라이빙 테이블(driving/outer table) 이라고 합니다특히 이 해시 테이블이 메모리에 생성되면 성능은 좋으며(메모리에 생성되지 않으면 내부적으로 임시 테이블이 만들어 져야 합니다.) 두 테이블의 크기 차이가 클수록 성능은 좋아집니다.
 
또한 해시 조인은 안티 조인과 병렬처리와 잘 맞으며 범위 검색(Range scan)이 아닌 동등 비교(Equi-Join, where절에서 등호로 비교하는 경우)에 더 적합 합니다.
 
 
[형식]
 
select   from 작은테이블큰테이블
 
 
[]
아래는 Oracle 10g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아래에서 dept 테이블이 메모리에 로드되어 emp 테이블의 내용과 비교하면서 결과를 추출 합니다.
 
select    
           e.empno,
          e.ename,
          d.dname,
          d.loc
from   dept d, emp e
where  e.deptno = d.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14                      6
  HASH JOIN                    14         406       6                                                       
    TABLE ACCESS FULL             SCOTT.DEPT      4           72         3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EMP        14         154       2            
      INDEX FULL SCAN   SCOTT.IDX_EMP_DEPTNO            13                      1 
 
 
select 
       e.empno,
          e.ename,
          d.dname,
          d.loc
from   emp e, dept d
where  e.deptno = d.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14                      6
  HASH JOIN                    14         406       6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EMP        14         154       2            
      INDEX FULL SCAN   SCOTT.IDX_EMP_DEPTNO            13                      1
    TABLE ACCESS FULL             SCOTT.DEPT      4           72         3                              
 
참고로 ALL_ROWS인 경우엔 머지 조인과 해시 조인을 비교한다면 해시 조인의 성능이 좋으며 중첩 조인의 경우 주로 첫번째 로우를 빠르게 추출하기 위한 FIRST_ROWS로 수행되는 조인 입니다.
 
 
 
 
[실습]
 
-      실습을 위한 예제 테이블 및 데이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myemp1 : 1000만건
myemp1_old : 100만건
mydept : 5
 
테스트환경 : oracle 11g
 
 
MYDEP1 테이블이 드라이빙 테이블
 
SQL> select
  2         e.ename,
  3         d.dname
  4  from   mydept1 d, myemp1 e
  5  where  e.deptno = d.deptno  ;
 
20000000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 00:01:42.32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20M|  1525M| 17043   (2)| 00:03:25 |
|*  1 |  HASH JOIN         |         |    20M|  1525M| 17043   (2)| 00:03:25 |
|   2 |   TABLE ACCESS FULL| MYDEPT1 |    10 |   650 |     3   (0)| 00:00:01 |
|   3 |   TABLE ACCESS FULL| MYEMP1  |    10M|   143M| 16941   (1)| 00:03:24 |
------------------------------------------------------------------------------
 
 
 
 
이번에는 MYEMP1 테이블이 드라이빙 테이블이 된다.
 
SQL> select
  2         e.ename,
  3         d.dname
  4  from   myemp1 e, mydept1 d
  5  where  e.deptno = d.deptno ;
 
20000000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 00:02:03.14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TempSpc|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20M|  1525M|       | 29883   (1)| 00:05:59 |
|*  1 |  HASH JOIN         |         |    20M|  1525M|   257M| 29883   (1)| 00:05:59 |
|   2 |   TABLE ACCESS FULL| MYEMP1  |    10M|   143M|       | 16941   (1)| 00:03:24 |
|   3 |   TABLE ACCESS FULL| MYDEPT1 |    10 |   650 |       |     3   (0)| 00:00:01 |

-------------------------------------------------------------------------------------- 

[Oracle Hint강의]join hint 조인 방법 변경(USE_MERGE) , 오라클힌트강좌

[Oracle Hint강의]join hint 조인 방법 변경(USE_MERGE)
 
구로디지털 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머지 조인(Merge Join)이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힌트 구문으로 이 경우 거의 SORT를 동반하므로 SORT MERGE JOIN이라고 부릅니다. 머지 조인이란 양쪽 테이블에서 대상 로우를 추출 후 조인 컬럼을 기준으로 SORT를 한 후 최종 결과를 만들어 내는 조인 방식 입니다.
 
USE_NL처럼 FROM 절 다음에 위치하는 테이블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어차피 독립적으로 정렬된 후 병합이 일어나므로 중요하지 않다고 할 수 있으며 SORT MERGE JOIN에서는 드라이빙 테이블의 의미가 없습니다.
 
[형식]
 
 
[]
아래 예제는 Oracle 10g에서 돌렸습니다.
 
 
select
       e.empno,
          e.ename,
          d.dname,
          d.loc
from   dept d, emp e
where  e.deptno = d.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14                      5
  MERGE JOIN                  14         406       5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DEPT      4           72         2            
      INDEX FULL SCAN   SCOTT.PK_DEPT             4                        1            
    SORT JOIN                 14         154       3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EMP        14         154       2            
        INDEX FULL SCAN             SCOTT.IDX_EMP_DEPTNO            13                      1                                                           
 
select
       e.empno,
          e.ename,
          d.dname,
          d.loc
from   dept d, emp e
where  e.deptno = d.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14                      5
  MERGE JOIN                  14         406       5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DEPT      4           72         2            
      INDEX FULL SCAN   SCOTT.PK_DEPT             4                        1                SORT JOIN                14         154               3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EMP        14         154       2            
        INDEX FULL SCAN             SCOTT.IDX_EMP_DEPTNO            13                      1                                                           
 
[실습]
 
-      실습을 위한 예제 테이블 및 데이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myemp1 : 1000만건
myemp1_old : 100만건
mydept : 5
 
테스트환경 : oracle 11g
 
 
MYEMP1이 비드라이빙 테이블이지만 머지조인 에서는 별 의미 없다.
 
SQL> select
  2         e.ename,
  3         d.dname
  4  from   mydept1 d, myemp1 e
  5  where  e.deptno = d.deptno   ;
 
20000000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 00:02:22.62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TempSpc|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20M|   476M|       | 68516   (2)| 00:13:43 |
|   1 |  MERGE JOIN         |         |    20M|   476M|       | 68516   (2)| 00:13:43 |
|   2 |   SORT JOIN         |         |    10 |   100 |       |     4  (25)| 00:00:01 |
|   3 |    TABLE ACCESS FULL| MYDEPT1 |    10 |   100 |       |     3   (0)| 00:00:01 |
|*  4 |   SORT JOIN         |         |    10M|   143M|   459M| 68463   (1)| 00:13:42 |
|   5 |    TABLE ACCESS FULL| MYEMP1  |    10M|   143M|       | 16941   (1)| 00:03:24 |
 
 
SQL> select
  2         e.ename,
  3         d.dname
  4  from   myemp1 e, mydept1 d
  5  where  e.deptno = d.deptno ;
 
20000000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 00:02:09.58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TempSpc|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20M|   476M|       | 68516   (2)| 00:13:43 |
|   1 |  MERGE JOIN         |         |    20M|   476M|       | 68516   (2)| 00:13:43 |
|   2 |   SORT JOIN         |         |    10M|   143M|   459M| 68463   (1)| 00:13:42 |
|   3 |    TABLE ACCESS FULL| MYEMP1  |    10M|   143M|       | 16941   (1)| 00:03:24 |
|*  4 |   SORT JOIN         |         |    10 |   100 |       |     4  (25)| 00:00:01 |
|   5 |    TABLE ACCESS FULL| MYDEPT1 |    10 |   100 |       |     3   (0)| 00:0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