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닷넷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닷넷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1월 5일 화요일

[닷넷4.0,ADO.NET강좌, .NET4.X, C#4.X]ADO.NET 개요, 소개, 특징 ADO.NET 개요, 소개

[닷넷4.0,ADO.NET강좌, .NET4.X, C#4.X]ADO.NET 개요, 소개, 특징   ADO.NET 개요, 소개  
 
ADO.NET 개요, 소개
 
ADO.NET은 .NET Framework 프로그래머에게 데이터 액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래스 집합이다.  분산된 데이터 공유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공하고 또한 관계형, XML 및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NET Framework의 핵심 부분이다.
 
ADO.Net은 Microsoft Accss와 SQL Server, Oracle 과 같은 관계 형 데이터베이스 뿐 아니라 비 관계형 데이터 원본도 조작이 가능한데 ADO.Net은 .Net Framework 안에 통합 되어 있으며 .NET 언어들(특히 C#)과 같이 쓰이도록 설계 되었다.
 
 기존의 ADO와 비교해 볼 때 ADO.Net은 확장성과 상호 운영성이 개선된 ADO 인데 ADO가 연결 지향형인데 반해 ADO.Net의 경우 비 연결성 데이터 집합을 처리 하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연결이 끊어진 레코드 집합은 응용 프로그램에만 도움이 되는데 이는 데이터를 로컬 상태에서 보다 빠르게 처리하고 전송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ADO.Net은 XML을 보편적인 데이터 전송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ADO.Net은 System.Data.dll 어셈블리 안에 들어 있는데 ADO.Net의 모든 클래스들이 System.Data.dll  안에 들어 있으므로 결국 System.Data.dll 자체가 곧 ADO.Net 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왜 이름을 System.Data 라고 하지 않고 ADO.Net이라고 했을까?  ADO.Net이라는 이름은 ADO(ActiveX Data Object)로부터 따온 것이다. MS는 .NET 환경에서 권장 되는 데이터 액세스 인터페이스 임을 나타내기 위해 ADO.Net 이라고 명명 한 것이다.
 
.NET Framework에서의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들을 굳이 다시 크게 나누어, Base Class Library와 그 외의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로 구분하자면, Base Class Library(BCL)에는 Collections나 IO등과 같은 프로그래밍에 있어서의 좀 더 근원적인 알고리즘(Algorithm)과 자료구조 및  하드웨어(Hardware)에 보다 근접한 부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의 라이브러리들에는 Directory Service, XML Support등과 같은 보다 추상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라이브러리를 접할 수 있고 그 중의 하나가 ADO.NET이라고 불리는 데이터(Data) 관련 클래스 라이브러리(Class Library) 이다. 

2013년 10월 24일 목요일

[닷넷,C#4.0강좌]C# 델리게이트 Action Delegate Action 델리게이트는 Func 델리게이트와 거의 유사하다. 차이점이라면...

[닷넷,C#4.0강좌]C# 델리게이트 Action Delegate 

Action 델리게이트는 Func 델리게이트와 거의 유사하다. 차이점이라면 반환 형식이 없다는 것이다. 이 Action 델리리게이트 역시 닷넷4.0 프레임워크에는 대략 17가지 준비되어 있다.
 
public delegate TResult Action< >()
public delegate TResult Func<in T >(T arg)
public delegate TResult Func<int T1, in T2>(T1 arg, T2 arg)
public delegate TResult Func<int T1, in T2, in T3 >(T1 arg, T2 arg, T3 arg)
……
……
public delegate TResult Func<in T1,,,in T16>(T1 arg, T2 arg, T3 arg,,, T16 arg)
Func 델리게이트와는 반환값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형식 매개변수는 모두 입력 매개변수 이다.
 
[사용 예문]
 
입력 매개 변수가 없는 경우…
 
Action action1 = () => Console.WriteLine(“No Parameter Action Delegate”);
action1();
 
입력 매개 변수가 두개인 경우…
 
int sum=0;
 
//입력 매개변수는 둘, 더한 결과를 밖에서 선언한 sum에 저장
Action<int, int> action2 = (x, y) => sum=x*y;
action2(1,2); 
Console.WriteLine(“1+2={0}”, sum);      //9 리턴
 

[예제]
 
using System;
namespace Lambda
{
    class Program
    {
        delegate int Sum(int[] ar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ction action1 = () => Console.WriteLine("No Parameter Action Delegate");
            action1();
            int ret = 0;
            Action<int> action2 = (x) => ret = x * x;
            action2(3);
            Console.WriteLine("action2(3), 3*3={0}", ret);
            Action<double, double> action3 = (x, y) =>
            {
                double d = x / y;
                Console.WriteLine("Action<t1, t2>({0},{1}) : {2}", x, y, d);
            };
            action3(8, 4);
        }
    }
}
 

[결과]
No Parameter Action Delegate
action2(3), 3*3=9
Action<t1, t2>(8,4) : 2

2013년 10월 23일 수요일

[닷넷4.0, ADO.NET]OleDB Oracle을 이용한 grid select, insert예제 OleDB 공급자를 이용하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했으며 EMP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어 그리드에 채우는 간단한 예제다.

[닷넷4.0, ADO.NET]OleDB Oracle을 이용한 grid select, insert예제
 
OleDB 공급자를 이용하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했으며 EMP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어 그리드에 채우는 간단한 예제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Data;
using System.Data.OleDb;
using System.Drawing;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OleDbConnection conn = null;
        OleDbDataAdapter adapter = null;
        DataSet ds = null;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ry
            {
                ds = new DataSet("emp");
//아래 onj는 $ORACLE_HOME/network/admin에 있는 tnsnames.ora 파일에 정의된 이름!
   string conStr = "Provider=MSDAORA;data source=onj;User ID=scott;Password=tiger";
   conn = new OleDbConnection(conStr);
                conn.Open();
                adapter = new OleDbDataAdapter("select * from emp", conn);
                adapter.Fill(ds);
                dataGridView1.DataSource = ds.Tables[0];
            }
            catch (Exception ex)
            {
                MessageBox.Show(ex.Message, "emp Table Loading Error");
            }
            finally        {
                conn.Close();
            }
        }
    }
}
new라는 클래스 Constructor 키워드를 사용하여, .NET Framework에서 제공하는 클래스 중의 'OleDbConnection'의 인스턴스를 만들면서 string타입의 파라미터(Parameter)를 취다. 그 stirng(접속 문자열)은 바로 윗줄에서 선언 되고 값이 주어졌다. 마지막에는 인스턴스인 Connection의 원래클래스, 즉 OleDbConnection이 멤버로 포함하고 있는 메쏘드 중의 대표적인 Open()을 호출하여 DataBase와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을 얻음. 그런다음 어댑터를 하나 만들어 "select" 명령을 실행 시킨 결과 DataSet으로 fill 시키고  DataGrid의 Datasource로 ds.Tables[0]을 지정했다.
 
 
[간단한 입력 예제, 오라클 scott계정의 EMP Table에 한건의 데이터를 간단히 입력]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OleDbConnection conn = null;
        OleDbDataAdapter adapter = null;
        DataSet ds = null;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try
            {
                ds = new DataSet("emp");
                //아래 onj는 $ORACLE_HOME/network/admin에 있는 tnsnames.ora 파일에 정의된 이름!
                string conStr = "Provider=MSDAORA;data source=onj;User ID=scott;Password=tiger";
                conn = new OleDbConnection(conStr);
                conn.Open();
                OleDbCommand command = new OleDbCommand("insert into emp(empno, ename) values(777, '오라클자바')", conn);
                command.ExecuteNonQuery();
                adapter = new OleDbDataAdapter("select * from emp where ename='오라클자바'", conn);
                adapter.Fill(ds);
                dataGridView1.DataSource = ds.Tables[0];
            }
            catch (Exception ex)
            {
                MessageBox.Show(ex.Message, "emp Table Loading Error");
            }
            finally
            {
                conn.Close();
            }

        }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개강확정강좌]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개발자 전문교육 ,개인80%환급(www.onjprogramming.co.kr)




[해당 카테고리로 이동합니다]

2013년 10월 19일 토요일

오라클 SCN은 최근의 SCN 보다 크고 유일한 값

SCN 이란?
오라클은 특정한 시점의 데이타베이스 상태를 SCN으로 관리하는데 어떤 트랜잭션이 commit 되면, SCN은 최근의 SCN 보다 크고 유일한 값이 할당되며이 값은 그 트랜잭션이 변경시킨 블럭에 반영되고또한 데이타화일의 가장 최근의 SCN은 데이타화일의 헤더에 기록 됩니다.
아래에는 SCN이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몇 가지 적었습니다.
참고 하세요~

1. Oracle Startup 
내부적 과정

$ORACLE_HOME/dbs/init$ORACLE_SID.ora file
를 찾는다
.
$ORACLE_SID.ora file
내의 지정된 config file를 포함하여 parameter 내용을 참조하여 Oracle backgroud process startup 한다.
(nomount )

control_file
이라는 parameter에 지정된 control file를 읽는다.
(mount )

control file
내에 설정되어 있는 Datafile  redolog file를 읽은 후 SCN이 일치하는가를 check한 후에 만약 틀리면 redolog를 이용하여 Recover 한 후 startup한다.


2. Listing Status Information About Data Files

SQL> SELECT name,
2 rfile#,
3 status,
4 checkpoint_change# "CHECKPOINT"
5 FROM v$datafile;

NAME RFILE# STATUS CHECKPOINT
----------------------------------------------------------------
C:\ORACLE\ORADATA\WINK\SYSTEM01.DBF 1 SYSTEM 7041729

C:\ORACLE\ORADATA\WINK\UNDOTBS01.DBF 2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CWMLITE01.DBF 3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DRSYS01.DBF 4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EXAMPLE01.DBF 5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INDX01.DBF 6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ODM01.DBF 7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TOOLS01.DBF 8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USERS01.DBF 9 ONLINE 7041729

C:\ORACLE\ORADATA\WINK\XDB01.DBF 10 ONLINE 7041729


10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RFILE#
은 각 데이타 화일의 화일 숫자로 리스트 하며 데이타베이스를 갖고 create 되었던,
SYSTEM tablespace
에 있는 첫번째 데이타 화일은 항상 화일 1 입니다.

STATUS
은 데이타 화일에 대해 다른 정보로 리스트 합니다만약 데이타 화일이 SYSTEM tablespace의 부분에 있다면상태는 SYSTEM 입니다.
(
만약 recovery를 요구 하지 않는다면)
만약 non-SYSTEM tablespace에 데이타 화일이 online으로 된다면상태는 ONLINE 이구요,
non-SYSTEM tablespace
에 데이타 화일이 offline으로 된다면상태는 OFFLINE이나 RECOVER 중 하나로 될 수 있습니다.
CHECKPOINT
는 데이타 화일의 가장 최근의 checkpoint에 기록된 마지막의 SCN을 리스트 합니다.


3. Oracle
 "fast commit" mechanism을 사용 하므로 사용자가 COMMIT문장을 사용하면 LGWRcommit record를 즉시 redo log buffer에 기록하지만 해당 data buffer의 변경들은 redo log buffer들을datafile들에 write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할 때까지 지연 되는 것입니다.

User
 transaction commit 할 때, transaction System Change Number(SCN)를 할당 받고 Oracleredo log transaction redo log entry들과 함께 기록 합니다.

Activity
가 빈번하다면, LGWR group commit을 사용하여 online redo log file write할 수도 있습니다.

출처 : 오라클자바커뮤니티(http://www.oraclejavanew.kr)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2013년 10월 13일 일요일

[자바교육]자바 싱글톤, 쓰레드 예제

자바 싱글톤, 쓰레드 예제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singleton = new Singleton();
    private Singleton() {
        System.out.println("Sington Class의 인스턴스 생성!");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singleton;
    }                                         
}
 
public class Main extends Threa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Start.");        
        Singleton obj1 = Singleton.getInstance();
  Singleton obj2 = Singleton.getInstance();
        if (obj1 == obj2){
   System.out.println("obj1 == obj2");
        }
  else {
   System.out.println("obj1 != obj2");
  }
    }
}
 
=======================================
 
 
public class Singleton {
    private static Singleton singleton = null;
    private Singleton() {
        System.out.println("인스턴스 생성...");
        slowdown();                             
    }
    public static Singleton getInstance() {
        if (singleton == null) {
            singleton = new Singleton();
        }
        return singleton;
    }
    private void slowdown() {                   
        try {                                   
            Thread.sleep(1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                                       
    }                                           
}
 
 
public class Main extends Threa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Start.");
        new Main("A").start();
        new Main("B").start();
        new Main("C").start();
        System.out.println("End.");
    }
    public void run() {
        Singleton obj = Singleton.getInstance();
        System.out.println(getName() + ": obj = " + obj);
    }
    public Main(String name) {
        super(name);
    }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2013년 8월 9일 금요일

[오라클자바커뮤니티, 닷넷강좌, 자바교육].NET CLR(Common Language Runtime)

마이크로소프트 닷넷기반의 C#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환경(닷넷 프레임웍)에 대해 이해가 우선 해야 합니다. 그래서오늘은 CLR(Common Language Runtime)이라는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CLR은 하부구조로 OS를 가지며 OS 위에서 닷넷 Application을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아주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이것때문에 닷넷 환경하에서 어떠한 언어로 개발하든지 컴파일된 파일은 같은 모양을 가지며 결국 이 컴파일된 파일들은 CLR 위에서 여러가지 라이브러리등을 참고해서 실행 하게 되는 겁니다. 자바라는 언어로 본다면 자바가상머신(JVM)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바에서도 이 JVM때문에 플랫폼 독립적인 자바의 특징, 어떠한 OS 기반위에라도 JVM만 있으면 자바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 했던 겁니다.
아래에서 닷넷 환경 하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를 보도록 하겟습니다. 자바에서는 .java 파일이 .class 파일로 바뀌고 이것이 JVM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구조이죠, 그런다음 JVM에서는 자바바이트 코드를 하나씩 해당 OS의 기계어(Native Code)로 번역을 하는 겁니다. 물론 번역을 그때그때 하면 JIT(Just-In-Time) 이라고 하고 병목현상이 일어날것





CLR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 The CLR defines the Common Type System (CTS)
? All languages built on the CLR use the CTS

? Typ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1. Value types:
- Relatively simple types
- Typically allocated on the stack
2. Reference types:
- More complex types
- Allocated on the heap
- Destroyed through garbage collection
CLR은 CTS라는 것을 정의하는데 무엇인고 하니 C#이든 VB.Net이든 동일한 형태의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겁니다. 예를들면 System.Int32라는 Class는 int형을 이야기 하는데
(int i=0; 또는 System.Int32 i=0; 둘다 같은 의미 입니다.)
C#이나 VB.Net등 어떠한 닷넷 언어에서든 공통으로 사용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과게에 C언어에서 Int형은 2바이트 또는 4바이트로 고정된것은 아니었습니다. 즉 32비트가 1워드이면 4바이트, 16비트가 1워드이면 2바이트 등으로 타입이 고정되지 않아 타입 안정성이 떨어 졌으니까요. 그래서 닷넷은 공용의 데이터 타입을 정의한거죠...물론 일반적인 원시데이터 타입(int, float, long등)은 Value Type이라고 하여 Stack에 저장되고 객체등은 Reference Type이라고 새서 Heap에 저장 됩니다.
CTS의 구조를 아래에서 보도록 하죠^^; (Value-Type이든 Reference Type이든 모드 객체 입니다. 위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int 형은 System.Int32라는 클래스 타입이죠)



오늘 자바에서의 JVM과 같은 닷넷에서의 CLR에 대해 살펴 보았습니다. 어렵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자바의 특을 어느정도 이해하고 계신다면 닷넷은 껌입니다. 항상 자바+알파 이니까요... 또한 CLR은 BCL(BAse Class Library)라고 해서 닷넷에서 사용되는 1000여가지의 클래스를 지웝합니다. 즉 C#이든 VB.Net이든 이 클래스는 똑같이 가져다 쓸수 있고 이름또한 같이 사용한다는 이야기 입니다. 아래의 예를 비교해 보세요...(결국 같은 Class를 이용하는 겁니다. 참 공부하기 편하죠^^;)

C# .Net 에서 MDB에 접근할려면 아래와 같이 합니다.

string CnString ="Data Source=student.mdb; Provider=Microsoft.Jet.OLEDB.4.0;"; OleDbConnection objConnection = new OleDbConnection (CnString);
objConnection.Open();
한편 VB.Net에서는
dim strConnection = "Data Source=student.mdb; Provider=Microsoft.Jet.OLEDB.4.0;"
dim objConnection as new OLEDBConnection(strConnection)
objConnection.open()







2013년 8월 2일 금요일

자바 상속을 이용한 Adapter 패턴 예제 (java adapter pattern)


안녕하세요~ 오라클자바커뮤니티(www.oraclejavacommunity.co.kr) 입니다.
<"자바 디자인 패턴에 입문" 에 나와 있는 사례소개 합니다.>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상속을 이용한 Adapter 패턴 예제

이미 제공 되는것과  필요로 하는것과의 사이에서 그 사이를 메꾸어 주는것이  Adapter의 역할
 Adapter 패턴은 Wrapper 패턴이라고도 한다.
 Adapter 패턴은 기존의 클래스를 이용해서 필요한 클래스를 만든다.  기존의 것과 필요한 클래스가 기능이 차이가 많은 경우에는 Adapter 패턴을 이용할수 없다. 물론 기존 클래스의 소스는 필요없다.
 Adapter 패턴은 기존버전과 새버전을 공존시키면서 S/W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해 준다.
 Adapter 패턴에는 Class에 위한 Adapter 패턴(상속이용)과 인스턴스에 의한 Adapter 패턴(위임이용) 두가지 형태가 있다.




이 예제는 기존에 제공되는 Class의 기능(주어진 문자열을 출력)을 이용하여 양쪽으로 괄호를 붙여 출력하는 간단한 예제이다.
 이미 제공되는것은 Banner Class이며 필요한것은 Print 인터페이스이고 교환장치(Adpater)는 PrintBanner Class이다.


//Banner.java
public class Banner {
private String str;
public Banner (String str) {
this.str = str;
}
public String  showString() {
return str ;
}
}
//Print.java
public interface Print {
public abstract String printString();
}
//PrintBanner.java
public class PrintBanner extends Banner implements Print {
public PrintBanner (String str) {  super(str);  }
public String  printString() {
return "(" + showString() + ")";
}
}
//Main.java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intBanner p = new PrintBanner("hello"); ?
//만약 PrintBanner의 고유의 메소드가 있다면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Print p = new PrintBanner("hello");
System.out.println(p.printString());
}

2013년 7월 28일 일요일

오라클,자바,닷넷,안드로이드, 아이폰, iOS, AJAX, jQuery, SQL 실무교육, 구로디지털가산에위치, 개발자전문교육,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1998년부터 운영된 오라클자바커뮤니티(www.oraclejavacommunity.co.kr)에서 설립 운영되고 있는 오엔제이 프로그래밍실무학원(www.onjprogramming.co.kr )은 개발자를 위한 실무 SKILL UP 전문 교육센터 입니다.
(2008년5월부터 오엔제이시스템즈에서 운영하던 "오라클자바교육센터"는 2013년5월 양도 하였으며 새로운 오엔제이 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에서 개발자 실무 교육을 이어갈 수 있도록 더욱 더 노력 하겠습니다.)

자바, 오라클의 기초부터 자바프레임워크(Struts, Spring), 오라클 튜닝, 모델링, 고급SQL, Xinternet(GAUCE, Miplatform, XPlatform), 닷넷(C#, ASP.Net), 스마트폰앱개발교육(안드로이드, 아이폰)까지 실무전문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원은 TOBESOFT에서 공인 교육기관 입니다.)

자바, 스프링, 오라클 교육 받으셨는데 이론으로 교육을 받으셨다고요? IT프로그래밍 교육은 실전예제, 실습을 통해 이론을 습득을 해야 합니다. 본원은 모든 강좌가 실습을 통해 이론을 취득하는 실무중심 교육 입니다.

한번 방문 하시어 실무전문 교육의 진수를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