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ORACLEJAV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ORACLEJAV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0월 3일 목요일

[오라클강좌,오라클데이터사전,오라클데이터딕셔너리,오라클Data Dictionary]ORACLE 데이터딕셔너리 1. Data Dictionary 란? - DB의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Data Dictionat에는 연관된 DataBase 정보 를 제공하는 일기전용 Table의 집합이다. 아래와 같은 정보들로 구성된다. Oracle 사용자 이름 권한과 롤 Schema 개체이름(Table, View, Snapshot, index, cluster, Synonym,,,) 무결성제약 조건에 관한 정보 Column에 대한 기본값 DB의 개체에 대한 할당된 영역과 현재 사용중인 양 기타 일반적인 DataBase 정보 2. 구성 - 기본 Table과 사용자가 Access 할수있는 View로 구성된다. - 기본 Table 연관된 DB의 정보를 저장하는 Table Oracle 만이 Read/Write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Access할수 없다. - 사용자 Access 가능 View Dictionary 기본 Table의 내용을 요약하여 편리하게 보여줌 3. Dictionary의 소유자 SYS - Oracle 사용자 SYS는 데이타 딕셔널리의 모든 기본 Table과 View를 소유한다. - 기본 Dictionary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면 DataBase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수 있다. 4. Dictionary 작용 - Oracle은 DDL 명령이 실행될때 마다 Data Dictionary를 Access한다. - 모든 Oracle 사용자는 DB정보에 대한 읽기 전용 참조로 Data Dictionary 사용할 수 있다. - DB작업동안 Oracle은 Data Dictionary를 읽어 개체의 존재여부와 사용자에게 적 합한 Access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Oracle은 Data Dictionary를 계속 갱신하여 DataBAse 구조, 감사, 사용자권한,데이터등의 변경사항을 반영한다. - DataBase 작업동안 Oracle은 항상 Data Dictionary에 Access하여 사용자 Access권한을 확인하고 개체 상태를 확인 하므로 Data Dictionary의 많은 정보 가 SGA에 저장된다. 모든 정보는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니즘을 사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되며 Table과 열을 설명하는 Comments는 Column을 자주 Access하지 않으면 저장되지 않는다. - Data Dictionary에 새로운 Table이나 View를 추가할수 있는데 소유자는 SYSTEM이나 제3의 ORacle 사용자여야 하며 SYS사용자에게 속한 새로운 개체는 생성하면 안된다. 5. User 접두어를 가진 View - 사용자와 밀접하게 관련된 View - 사용자 자신의 전용환경을 참조 - ALL_ View의 모든 정보의 부분 집합이다. - Public Synonym을 가질수 있다. <예> 아래의 예는 Scott 사용자의 Table을 조회항 결과이다. SQL> connect scott/tiger Connected. SQL> select table_name, tablespace_name from user_tables; TABLE_NAME TABLESPACE_NAME ------------------------------ ------------------------------ BONUS TOOLS DEPT TOOLS DUMMY TOOLS EMP TOOLS SALGRADE TOOLS 6. ALL 접두어를 가진 View - 사용자가 소유한 개체와 공용 권한과 명시적으로 부여된 권한및 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Access할수 있는 개체정보를 돌려준다. <예>라애의 예는 Scott 사용자가 Access 가능한 DB Link를 보이는 예이다. SQL> connect scott/tiger Connected. SQL> select owner, db_link from all_db_links; OWNER ------------------------------ DB_LINK -------------------------------------------------------------------------------- PUBLIC LINUX.WORLD PUBLIC SANAE.WORLD PUBLIC WINK.WORLD 7. DBS 접두어를 가진 View - 전체 DB에 대한 전역 View를 제공 - DataBase 관리자만이 질의가 가능하며 select any table 권한이 있는 사용자 또한 질의가 가능하다. - 이러한 View에 대한 동의어는 생성되지 않으며, 다른 사용자가 질의 하려면 앞에 sys.이라는 접두어를 붙여야 한다. select owner, object_name from sys.dba_objects; - select any table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dba_sysnonyms.sql을 실행하여 자신의 계정에 DBA View에 대한 동의어를 생성할수 있다. 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동의어가 생성된다. 8. DUAL Table - Oracle과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이 알려져 있는 결과를 보장하도록 참조할수 있는 작은 Table이며, 하나의 열과 하나의 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 [출처] 오라클자바커뮤니티 - http://www.oraclejavanew.kr/bbs/board.php?bo_table=LecOracle&wr_id=75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www.onjprogramming.co.kr [개강안내]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개발자 전문교육 ,개인80%환급(www.onjprogramming.co.kr) [주말] [10/5]자바기초에서JSP,Ajax,jQuery,Spring3.2,MyBatis까지 [10/5]SQL초보에서실전전문가까지 [평일야간] [10/4]자바기초에서JSP,Ajax,jQuery,Spring3.2,MyBatis까지 [10/4]SQL초보에서실전전문가까지 [평일주간] [10/8]스프링3.X게시판&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10/4]PL/SQL,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JAVA ORACLE iPhone/Android .NET 표준웹/HTML5 채용/취업무료교육 초보자(재학생)코스 PL/SQL,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4일 32시간 10-04 스프링3.X게시판&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4일 32시간 10-08 SQL초보에서실전전문가까지 총 8일 56시간 10-10 SQL초보에서실전전문가까지 총 18일 54시간 10-04 스프링3.X게시판&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11일 33시간 10-08 오라클 마스터 총 18일 54시간 10-10 PL/SQL,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10일 30시간 10-10 오라클 마스터 총 8일 56시간 10-05 SQL초보에서실전전문가까지 총 8일 56시간 10-05 스프링3.X게시판&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4일 32시간 10-05 PL/SQL,오라클힌트,SQL튜닝,사례연구 총 4일 32시간 10-05

[오라클강좌,오라클데이터사전,오라클데이터딕셔너리,오라클Data Dictionary]ORACLE 데이터딕셔너리




1. Data Dictionary 란?
- DB의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Data Dictionat에는 연관된 DataBase 정보
 를 제공하는 일기전용 Table의 집합이다. 아래와 같은 정보들로 구성된다.
 
 Oracle 사용자 이름
 권한과 롤
 Schema 개체이름(Table, View, Snapshot, index, cluster, Synonym,,,)
 무결성제약 조건에 관한 정보
 Column에 대한 기본값
 DB의 개체에 대한 할당된 영역과 현재 사용중인 양
 기타 일반적인 DataBase 정보

2. 구성
- 기본 Table과 사용자가 Access 할수있는 View로 구성된다.
- 기본 Table
 연관된  DB의 정보를 저장하는 Table
 Oracle 만이 Read/Write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Access할수 없다.
- 사용자 Access 가능 View
 Dictionary 기본 Table의 내용을 요약하여 편리하게 보여줌

3. Dictionary의 소유자 SYS
- Oracle 사용자 SYS는 데이타 딕셔널리의 모든 기본 Table과 View를 소유한다.
- 기본 Dictionary Table의 내용을 변경하면 DataBase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칠수 있다.

4. Dictionary 작용
- Oracle은 DDL 명령이 실행될때 마다 Data Dictionary를 Access한다.
- 모든 Oracle 사용자는 DB정보에 대한 읽기 전용 참조로 Data Dictionary
 사용할 수 있다.
- DB작업동안 Oracle은 Data Dictionary를 읽어 개체의 존재여부와 사용자에게 적
 합한 Access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Oracle은 Data Dictionary를 계속
 갱신하여 DataBAse 구조, 감사, 사용자권한,데이터등의 변경사항을 반영한다.
- DataBase 작업동안 Oracle은 항상 Data Dictionary에 Access하여 사용자
 Access권한을 확인하고 개체 상태를 확인 하므로 Data Dictionary의 많은 정보
 가 SGA에 저장된다. 모든 정보는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니즘을
 사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되며 Table과 열을 설명하는 Comments는 Column을
 자주 Access하지 않으면 저장되지 않는다.
- Data Dictionary에 새로운 Table이나 View를 추가할수 있는데 소유자는
 SYSTEM이나 제3의 ORacle 사용자여야 하며 SYS사용자에게 속한 새로운 개체는
 생성하면 안된다.

5. User 접두어를 가진 View
- 사용자와 밀접하게 관련된 View
- 사용자 자신의 전용환경을 참조
- ALL_ View의 모든 정보의 부분 집합이다.

- Public Synonym을 가질수 있다.
<예> 아래의 예는 Scott 사용자의 Table을 조회항 결과이다.
SQL> connect scott/tiger
Connected.
SQL> select table_name, tablespace_name from user_tables;

TABLE_NAME                    TABLESPACE_NAME
------------------------------ ------------------------------
BONUS                          TOOLS
DEPT                          TOOLS
DUMMY                          TOOLS
EMP                            TOOLS
SALGRADE                      TOOLS

6. ALL 접두어를 가진 View
- 사용자가 소유한 개체와 공용 권한과 명시적으로 부여된 권한및 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Access할수 있는 개체정보를 돌려준다.
<예>라애의 예는 Scott 사용자가 Access 가능한 DB Link를 보이는 예이다.
SQL> connect scott/tiger
Connected.
SQL> select owner, db_link from all_db_links;

OWNER
------------------------------
DB_LINK
--------------------------------------------------------------------------------
PUBLIC
LINUX.WORLD

PUBLIC
SANAE.WORLD

PUBLIC
WINK.WORLD

7. DBS 접두어를 가진 View
- 전체 DB에 대한 전역 View를 제공
- DataBase 관리자만이 질의가 가능하며 select any table 권한이 있는
 사용자 또한 질의가 가능하다.
- 이러한 View에 대한 동의어는 생성되지 않으며, 다른 사용자가 질의 하려면
 앞에 sys.이라는 접두어를 붙여야 한다.
 select owner, object_name from sys.dba_objects;
- select any table권한이 있는 사용자는 dba_sysnonyms.sql을 실행하여
 자신의 계정에 DBA View에 대한 동의어를 생성할수 있다. 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에게 해당되는 동의어가 생성된다.

8. DUAL Table
- Oracle과 사용자 작성 프로그램이 알려져 있는 결과를 보장하도록
 참조할수 있는 작은 Table이며, 하나의 열과 하나의 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2013년 8월 27일 화요일

자바의 자료형 소개 [오라클교육오라클자바교육강의강좌,자바교육,ORACLEJAVA교육강의강좌]

자료형에 대해 계속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실무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 SQL, 튜닝, 자바, 스프링, Ajax, jQuery,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C#, ASP.Net)   www.onjprogramming.co.kr



1. 정수 자료형 (byte,short,int,long)

자바에서 제공하는 정수 자료형은 byte, short, int, long 4가지가 있습니다.(1,2,4,8 바이트 순)

C언어의 unsigned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short, byte에 연산을 하면 무조건 int형이 됩니다. 아래의 예를 보죠...

short a=0, b=0;

short c = a + b;

만약 위의 코드 부분이 컴파일 되다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날것 입니다.

---------- javac ----------
test.java:10: possible loss of precision
found : int
required: short
short c = a + b;
^
1 error


int형이 아닌 long형으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선 숫자 끝에 소문자 l이나 대문자 L을 표시한다.

Int : 12 (10진수), 012 (8진수), 0x12 (16진수)

Long : 12L, 12l



2. 부동소수 자료형 (float ,double)

자바에서 제공하는 부동소수 자료형은 float와 double이 있습니다.
부동소수 자료형 뒤에 아무것도 붙이지 않거나 ‘d’ 또는 ‘D’ 가 붙으면 기본적으로 double 형이 되며 ‘f’, ‘F’를 붙이면 float 자료형이 됩니다.

유효 10진 자리수
float : 6자리, double : 15자리

2진수로 표현하므로 표현 오차 발생하며 보다 정확한 표현을 하려면 BigDecimal 이용하세요~

리터럴

float --> 1e1f, 2.F, .3f, 6.02E+23f, 1.4039846e-45f ~ 3.40282347e+38f
double --> 1e1, 2.D, .3, 6.02E+23d, 4.94065645841246544e-324 ~ 1.79769313486231570e+308



[예제]

// FloatPointTest.java

class FloatingPoin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
System.out.println( 1.2345678901234567890123456789 ); // 1.2345678901234567
System.out.println( 2e3 ); // 2000.0
System.out.println( 0.1 + 1.6 ); // 1.7000000000000002
System.out.println( 3.0 / 0.0 ); // Infinity
System.out.println( 0.0 / 0.0 ); // NaN
}
}



3. 진리 자료형 (boolean)

boolean Literal : true, false

boolean 형은 다른 데이터형과 연산이 불가하며 boolean형은 boolean 형과 연산이 가능 합니다.

[예제]

public class Boolean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b1 = true; boolean b2 = !b1;
System.out.println("b1 : " + b1);
System.out.println("!b1 : " + b2);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b1 == b2);
System.out.println(" 6 < 7 : " + (6 < 7));
}
}

[결과]

b1 : true
!b1 : false
false
true
false
6 < 7 : true

4. 문자 자료형 (char)

자바는 유니코드를 지원하는데 JDK1.4부터는 Unicode 2.0까지 지원합니다.

한 문자를 표현할 때는 '와 ' 사이에 단 한 글자만이 올 수 있습니다.

자바에서 문자를 표현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 방법은 있는 그대로 쓰는 것이며 두번째 방법은 유니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예)char c = ‘A’, char c = ‘\u0041’

[예]

class Char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c1 = 'A'; char c2 = '\u0041';
char c3 = '가'; char c4 = '\uac00';
System.out.println("c1:"+c1+",c2:"+c2);
System.out.println(c1 == c2);
System.out.println("c3:"+c3+",c4:"+c4);
System.out.println(c3 == c4);
}
}

[결과]

c1:A,c2:A
true
c3:가,c4:가
true

2013년 8월 16일 금요일

오라클 Optimizer Mode Setting 방법

오라클 Optimizer Mode Setting 방법

대한민국오라클학원/오라클학원/오라클교육/오라클강의/구로 오라클/가산오라클/오라클강


--------------------------
1.        Instance 수준의 셋팅 방법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중심!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 SQL, 튜닝, 자바, 스프링, Ajax, jQuery,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C#, ASP.Net)   www.onjprogramming.co.kr 


-        DB의 설정 파일(initSID.ora or spfileSID.ora)에 전체적으로 적용이 되도록 정의하는 방법이며 다음과 같이 기술하며 OPTIMIZER MODE는 REUL, CHOOSE, ALL_ROOWS, FIRST_ROWS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CHOOSE인 경우 한테이블이라도 Analyzed되어 있는 경우엔 비용기반 접근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며 RULE인 경우 규칙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 ALL_ROWS인 경우 비용기반 옵티마이저의 한 방법이며 모든 ROW들을 처리한다고 할 때 그 비용을 최소화 하는 방법으로 실행계획을 수립하며,  FIRST_ROWS인 경우엔 최초 ROW를 추출하는데 드는 비용을 최소화 하도록 실행 계획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        예) OPTIMIZER_MODE=FIRST_ROWS

-        만약 initSID or spfileSID.ora에 아무 내용도 정의하지 않은 경우 기본적으로 CHOOSE 방식이 됩니다.

-------------------------
2.        Session 수준의 셋팅 방법
-------------------------

-        alter session이라는 명령을 이용하면 현재 접속된 세션 레벨에서 옵티마이저 모드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예) alter session set optimizer_goal=rule 앞과 같이 정의하면 해당 세션이 끝나기 전까지는 규칙 기반(,RULE-BASED) 옵티마이저 모드를 이용하게 됩니다.

--------------------------
3.        Statement 수준의 셋팅 방법
--------------------------

-        힌트(Hint) 구문을 이용한다면 매 SQL 문장마다 서로 다른 옵티마이저 모드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예) SELECT /*+ FIRST_ROWS */
                          ENAME,
                          SAL,
                          JOB
              FROM EMP
              WHERE SAL > (SELECT MAX(SAL)
                                    FROM  EMP
                                    WHERE DEPTNO = 10)

2013년 8월 13일 화요일

Time Base Recovery(1) 중요한 테이블이나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 했을 때의 복구 방법 입니다. 관리자는 2005년 1월 10일 10시 30분경에 전날(1월9일) 오전 10시 무렵에 중요한 emp 테이블을 실수로 삭제 했다는 보고를 받았습니다. ----------------------------- 복구 과정 ----------------------------- 1. 현재 데이터베이스를 종료 SQL>conn / as sysdba SQL>shutdown immediate (또는 shutdown abort) 2. 현재 DB에 대해 cold backup을 실시 (cold backup에 관한 사항은 이전 강좌를 참고) (데이터파일과 리두 로그 파일, 컨트롤 파일도 같이 백업) 3. 마운트 단계까지 DB 시작 SQL>startup mount 4. 가장 최근에 백업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복원 SQL>host copy c:\backup\*.dbf c:\oracle\oradata\wink\ (윈도우) SQL>!cp /backup/*.dbf /oracle/oradata/wink(유닉스 계열) 5. LOG_ARCHIVE_DEST로 지정된 아카이브 로그 폴더에 아카이브 로그 파일이 있는지 확인 (만약 Archive Log가 있는 디스크에 장애가 있어 접근이 어렵다면 아카이브 파일을 임의의 장소에 저장하고 alter system archive log start to ‘디렉토리이름’ 명령으로 변경 합니다) 6. recover 명령으로 1월9일 오전 10시 이전으로 복구(여기서는 9시 55분 상태로 복구) SQL>recover database until ‘2005-01-09 09:55:00’ 7. resetlogs 옵션을 이용하여 DB를 Open SQL>alter database open resetlogs; 8. 삭제된 emp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 9. 복구 완료를 확인 하였으면 DB를 종료 후 cold backup을 한 후 Archive Log를 삭제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Time-Base Recovery를 진행하면 되지만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만 Export Utility를 이용하여 매일매일 DB를 백업 받아 두었다면 Import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복구를 진행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대량의 데이터를 매일매일 Export 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말입니다. 제가 과거에 백화점에 근무 할 때도 매일매일 export로 전체 DB를 백업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 [출처] 오라클자바커뮤니티 - http://www.oraclejavanew.kr/bbs/board.php?bo_table=LecBACKUP&wr_id=2

Time Base Recovery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중요한 테이블이나 테이블의 데이터를 삭제 했을 때의 복구 방법 입니다.

관리자는 2005년 1월 10일 10시 30분경에 전날(1월9일) 오전 10시 무렵에 중요한 emp 테이블을 실수로 삭제 했다는 보고를 받았습니다.


-----------------------------
복구 과정
-----------------------------

1.        현재 데이터베이스를 종료

SQL>conn / as sysdba
SQL>shutdown immediate (또는 shutdown abort)

2.        현재 DB에 대해 cold backup을 실시 (cold backup에 관한 사항은 이전 강좌를 참고)
(데이터파일과 리두 로그 파일, 컨트롤 파일도 같이 백업)

3.        마운트 단계까지 DB 시작

SQL>startup mount

4.        가장 최근에 백업된 데이터 파일로부터 복원

SQL>host copy c:\backup\*.dbf c:\oracle\oradata\wink\ (윈도우)

SQL>!cp /backup/*.dbf /oracle/oradata/wink(유닉스 계열)

5.        LOG_ARCHIVE_DEST로 지정된 아카이브 로그 폴더에 아카이브 로그 파일이 있는지 확인 (만약 Archive Log가 있는 디스크에 장애가 있어 접근이 어렵다면 아카이브 파일을 임의의 장소에 저장하고 alter system archive log start to ‘디렉토리이름’ 명령으로 변경 합니다)


6.        recover 명령으로 1월9일 오전 10시 이전으로 복구(여기서는 9시 55분 상태로 복구)

SQL>recover database until ‘2005-01-09 09:55:00’

7.        resetlogs 옵션을 이용하여 DB를 Open

SQL>alter database open resetlogs;

8.        삭제된 emp 테이블이 있는지 확인

9.        복구 완료를 확인 하였으면 DB를 종료 후 cold backup을 한 후 Archive Log를 삭제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Time-Base Recovery를 진행하면 되지만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만 Export Utility를 이용하여 매일매일 DB를 백업 받아 두었다면 Import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복구를 진행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대량의 데이터를 매일매일 Export 한다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지만 말입니다. 제가 과거에 백화점에 근무 할 때도 매일매일 export로 전체 DB를 백업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


[ORACLEJAVA커뮤니티강좌, 백업/복구]오라클 불완전 복구 과정과 주의사항

불완전 복구 과정과 주의사항.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
복구과정
------------------

1. 오류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종료
2. close 백업(cold 백업)을 실시
3. 모든 데이터 파일을 복원(때에 따라서는 컨트롤 파일을 복구해야 하는 경우도 있슴)
4. startup mount 단계로 시작하여 recover 명령으로 복구
5. resetlog 옵션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오픈 한 다음 정상적인 동작을 확인
6. 데이터베이스를 종료하고 cold backup을 실시


--------------------
주의 사항
--------------------

-        불완전 복구(incomplete recovery)는 완전 복구(Complete Recovery)와는 달리 백업된 전체 데이터를 복원하고 recovery 하므로 반드시 복구 전에 데이터베이스를 종료 해야 합니다.
-        복구 실패에 대비해 recovery 전에 cold backup을 실시 합니다.
-        cold backup시 redo log file과 control file도 포함하여 백업을 하며 아카이브 로그도 별도의 공간에 백업을 해 둡니다.
-        불완전 복구는 mount 상태에서 복구가 진행되므로 일반 사용자는 DB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백업된 모든 데이터 파일과 백업 시점에서 복구를 원하는 시점까지의 아카이브 로그가 필요 합니다.
-        복구가 끝난 후 resetlog 옵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시작하면 로그 시퀀스가 초기화 되어 이전의 로그 파일이나 Archive Log File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 후 cold backup을 해야 합니다. cold backup이 끝나면 이전에 만들어진 Archive Log File은 삭제 합니다.

오라클 export와 tablespace

oracle, oracle교육, oracle강좌, oraclejava, javaoracle, 오라클, 오라클자바, 자바오라클, 오라클교육, 오라클강좌, 구로디지털 오라클, 구로 오라클, 가산 오라클

export와 tablespace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oracle9i에서는 지정된 tablespace의 object를 export 받기위한 옵션으로 tablespace parameter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8i에서 이 parameter는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옮길 테이블스페이스를 지정하였으나 9i에서는 지정된 테이블스페이스의 object를 export 하겠다는 개념으로 바뀜)

이 paramet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user에게 export_full_database privilege가 부여되어 있어야 하는데 아래의 예제를 보면서 이해 바랍니다.

----------------------------------------------------------------


C:\Documents and Settings\이종철>sqlplus /nolog

SQL*Plus: Release 9.2.0.1.0 - Production on Fri Mar 11 08:48:31 2005

Copyright (c) 1982, 2002, Oracle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SQL> conn / as sysdba
Connected.
SQL> create tablesapce test datafile
  2  'c:\oracle\oradata\wink\test01.dbf' size 1m;
create tablesapce test datafile
      *
ERROR at line 1:
ORA-00901: invalid CREATE command


SQL> create tablespace  test datafile
  2  'c:\oracle\oradata\wink\test01.dbf' size 1m;

Tablespace created.

SQL> conn scott/tiger
Connected.

SQL> create table mytest (
  2  id number,
  3  name varchar2(20),
  4  addr varchar2(50),
  5  amount number,
  6  hiredate date)
  7  partition by list(addr)
  8  (
  9  partition test_1 values ('서울','부산'),
 10  partition test_2 values ('광주','대구'),
 11  partition test_3 values ('제주','춘천') tablespace test,
 12  partition test_4 values ('수원','대전') tablespace users
 13  )
 14  /

Table created.

SQL> insert into mytest values (1,'1길동','서울',10000, sysdate);

1 row created.

SQL> insert into mytest values (2,'2길동','부산',20000, sysdate);

1 row created.

SQL> insert into mytest values (3,'3길동','제주',30000, sysdate);

1 row created.

SQL> insert into mytest values (4,'4길동','춘천',40000, sysdate);

1 row created.

SQL> insert into mytest values (5,'5길동','대전',50000, sysdate);

1 row created.

SQL> select segment_name, partition_name
  2  from user_segments
  3  where tablespace_name = 'TEST';

SEGMENT_NAME
--------------------------------------------------------------------------------

PARTITION_NAME
------------------------------
MYTEST
TEST_3


SQL> conn / as sysdba
Connected.
SQL> grant exp_full_database to scott;

Grant succeeded.

SQL> grant imp_full_database to scott;

Grant succeeded.

SQL> exit

Disconnected from Oracle9i Enterprise Edition Release 9.2.0.1.0 - Production
With the Partitioning, OLAP and Oracle Data Mining options
JServer Release 9.2.0.1.0 - Production
EXP-00000: Export terminated unsuccessfully

C:\Documents and Settings\이종철>exp userid=scott/tiger tablespaces=test

Export: Release 9.2.0.1.0 - Production on Fri Mar 11 08:59:16 2005

Copyright (c) 1982, 2002, Oracle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Connected to: Oracle9i Enterprise Edition Release 9.2.0.1.0 - Production
With the Partitioning, OLAP and Oracle Data Mining options
JServer Release 9.2.0.1.0 - Production
Export done in US7ASCII character set and AL16UTF16 NCHAR character set
server uses KO16MSWIN949 character set (possible charset conversion)

About to export selected tablespaces ...
For tablespace TEST ...
. exporting cluster definitions
. exporting table definitions
. . exporting table                        MYTEST
. . exporting partition                        TEST_1          2 rows exported
. . exporting partition                        TEST_2          0 rows exported
. . exporting partition                        TEST_3          2 rows exported
. . exporting partition                        TEST_4          1 rows exported
. exporting referential integrity constraints
. exporting triggers
Export terminated successfully without warnings.


===================================================================
한가지 특이한 점은 지정된 tablespace 내의 object와 연관된 다른 tablespace의 object도 같이 export/import 된다는 것이다.
===================================================================

[ORACLEJAVA커뮤니티]DBMS_STATS 패키지 사용하기 오라클강좌

DBMS_STATS 패키지 사용하기 오라클강좌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신입사원채용무료교육,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오라클은 테이블이나 인덱스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오브젝트에 대한 통계 정보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DBMS_STATS 패키지를 제공 합니다이 패키지를 이용하면 테이블이나 인덱스의 모든 데이터를 근간으로 통계 정보를 생성 할 수 있으며 생성된 Sample 데이터를 기반에서 하여 통계 정보를 평가 하는 것이 가능 합니다.
 
대용량의 테이블이라면 모든 데이터를 가지고 액세스 경로를 추측 하는 것 보다 이러한 샘플링 데이터를 가지고 추측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대체로 샘플링 데이터는 5% 이하로 row block에 만들며 DBMS_STATS PACKAGE automatic sampling procedure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계정보용 테이블 생성하기 DBMS_STATS 패키지의 create_stat_table 프러시져를 이용하여 만들면 됩니다아래의 예를 보죠
 
SQL> conn / as sysdba
연결되었습니다.
SQL> execute dbms_stats.create_stat_table('scott','stat_tab','users');
 
PL/SQL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인자는 계정통계정보용 테이블 이름테이블스페이스 이름 입니다.
 
자 이번에는 통계정보를 모아 볼까요,,,
 
DBMS_STATS 패키지에는 몇 개의 유용한 프러시저가 있는데 다른 레벨로 통계 정보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Gather_database_ stats: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Object에 대해 통계 정보를 생성 합니다.
Gather_schema_ stats: 해당 스키마의 Object에 대해 통계 정보를 생성 합니다.
Gather_table_stats : 테이블과 그 테이블과 연관된 인덱스에 대해 대해 통계 정보를 생성 합니다.
Gather_index_stats : 인덱스에 대해 대해 통계 정보를 생성 합니다.
 
아래의 예제를 참고 하세요
 
아래는 SCOTT이라는 스키마 계정과 EMP라는 테이블에 대해 통계 정보를 생성 했습니다.
 
SQL> execute dbms_stats.gather_schema_stats(ownname => 'scott');
 
PL/SQL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SQL>  execute dbms_stats.gather_table_stats('scott','emp');
 
PL/SQL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SQL>select * from dba_tables where owner = SCOTT 으로 확인 하자.
 
)위의 예제인 경우 자동으로 테이블과 인덱스의 모든 데이터에 대해 통계 정보가 계산 됩니다만약 만들 통계정보가 단순히 샘플이거나 큰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가 아니라 일부의 레코드에 대해 제한하는 경우엔 dbms_stats.auto_sample_size를 이용 합니다아래의 예를 참고 하세요~
 
SQL> execute dbms_stats.gather_schema_stats(ownname => 'scott', estimate_percen => dbms_stats.auto_sample_size);
 
PL/SQL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이번에 시스템과 관련된 통계 정보를 생성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dbms_stats를 이용하여 CBO(cost based optimizer)에게 system performance 통계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데  이 패키지는 CPU 사용과 I/O 퍼센트 등의 정보도 통계정보를 생성시 추가 합니다. dbms_stats.gather_system_stats 프러시저를 이용하면 되며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Gathering_mode : 통계 정보에 대한 수집을 특정한 시기 또는 기간에 하는 경우에는 interval 이나 start/stop 값을 주면 됩니다. noworkload라고 하면 시스템은 통계 정보를 general하게 수집 합니다.
 
Interval : Gathering_mode에서 interval이라고 한 경우에만 사용 합니다.
Stattab : 시스템의 통계 정보가 모아질 테이블을 기술 합니다.
 
Statown : 시스템의 통계 정보가 모아질 테이블의 Owner를 기술 합니다. (현재 패키지를 실행 할 Schema와 다를 경우에 기술 합니다)
 
SQL> begin
  2  dbms_stats.gather_system_stats (
  3     gathering_mode => 'interval',
  4     interval => 60,
  5     stattab => 'stat_tab',
  6     statown => 'scott');
  7  end;
8  /
 
PL/SQL 처리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DBMS_STATS.gather_system_stats 를 사용전에 job_queue_processes 매개변수를 SET 시켜야 합니다기본값은 0으로 양수값으로 세팅 해야 합니다그렇지 않으면 gather_system_stats 프러시져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현재 세션에서 이 값을 다이나믹하게 설정 할려면 alter system set job_queue_processes = 20 이라고 하면 됩니다.

oracle cursor sgaring parameter

cursor sgaring parameter

CURSOT_SHARING 파라미터


 
구로디지털 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www.onjprogramming.co.kr
 
 
 
비슷한 조건 문을 가지는 문장에 대해 SQL문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전 강좌 처럼 바인드 변수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이전강좌에서 상수 값을 다르게 주게 되는 경우 서로 다른 SQL로 인식을 하여 하드 파싱(처음 보는 SQL문으로 인식하여 일일이 파싱)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Oracle 8.1.6
에서 소개된 Cursor_Sharing 변수는 각각의 문장들에 대해 bind 변수로 처리하지 않게 되더라도 내부적으로 바인드 변수로 처리하여 각각의 Cursor에 대해 공유가 가능 하도록 했습니다. 실제 이 기능은 Bind 변수를 쓰는 것 보다는 빠르지 않지만 Literal SQL문을 이용하는 것보다 20~30% 성능 향상이 있는 것으로 검증 되었습니다.
 
1. CURSOR_SHARING = EXACT
 
SQL문장이 모두 동일해야만 Soft Parsing이 가능 합니다.(재사용 한다는 이야깁니다.) Where절의 상수까지도 같아야 합니다.
 
다음예문을 참고 하세요~
SQL>conn / as sysdba
SQL> alter system flush shared_pool;
 
시스템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conn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SQL> alter session set cursor_sharing = exact;
 
세션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10;
 
DNAME
--------------
ACCOUNTING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40;
 
DNAME
--------------
OPERATIONS
 
SQL> conn / as sysdba
연결되었습니다.
 
SQL> select substr(sql_text,1,40) "SQL", count(*),
  2     sum(executions) "총 실행 횟수"
  3  from v$sqlarea
  4  where sql_text like '%dept%'
  5  group by substr(sql_text,1,40)
  6  having count(*) > 0
  7  order by 2;
 
 
 SQL                                        COUNT(*)    총 실행 횟수
---------- --------------------------------------------------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10         1            1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40         1            1
 
파싱을 2번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CURSOR_SHARING = SIMILAR
 
SQL문은 동일 해야 하며 조건에 정의된 바인드 변수의 값이 다르더라도 하나의 SQL문으로 간주하여 Soft Parsing 합니다. 이 값은 결국 다른 상수 값을 사용하더라도 하나의 SQL문으로 인식합니다, 3번의 경우(FORCE)와 같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SQL> alter system flush shared_pool;
 
시스템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conn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SQL> alter session set cursor_sharing = similar;
 
세션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10;
 
DNAME
--------------
ACCOUNTING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40;
 
DNAME
--------------
OPERATIONS
 
SQL> conn / as sysdba
연결되었습니다.
 
SQL> select substr(sql_text,1,40) "SQL", count(*),
  2     sum(executions) "총 실행 횟수"
  3  from v$sqlarea
  4  where sql_text like '%dept%'
  5  group by substr(sql_text,1,40)
  6  having count(*) > 0
  7  order by 2;
 
 SQL                               COUNT(*)          총 실행 횟수
---------- --------------------------------------------------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         1            2
 
파싱이 한번만 일어남을 알수 있다
 
 
 
3. CURSOR_SHARING = FORCE
 
WHERE 조건절에 정의된 상수가 다르더라도 Soft Parsiing을 합니다.
 
SQL> alter system flush shared_pool;
 
시스템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conn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SQL> alter session set cursor_sharing = force;
 
세션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10;
 
DNAME
--------------
ACCOUNTING
 
SQL>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40;
 
DNAME
--------------
OPERATIONS
 
SQL> conn / as sysdba
연결되었습니다.
 
SQL> select substr(sql_text,1,40) "SQL", count(*),
  2     sum(executions) "총 실행 횟수"
  3  from v$sqlarea
  4  where sql_text like '%dept%'
  5  group by substr(sql_text,1,40)
  6  having count(*) > 0
  7  order by 2;
 
 SQL                               COUNT(*)          총 실행 횟수
---------- --------------------------------------------------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deptno = :"         1            2
 

[ORACLEJAVA커뮤니티강좌]오라클 통계정보 해석하기 , SET AUTOTRACE 이용 하기

SET AUTOTRACE 이용 하기

SQL*Plus
에서 사용자는 자동으로 Optimizer에서 실행계획과 통계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AUTOTRACE를 사용하며 DML문을 성공적으로 수행 시 만들어지며 DML문의 성능 튜닝을 위한 방법으로 자주 이용 됩니다.

SET AUTOTRACE
를 사용하기 위해선 실행 계획용 테이블(PLAN_TABLE)이 존재해야 하며 구문을 활성화 하기 위해 SET AUTOTRACE ON, 비활성화 하기위해 SET AUTOTRACE OFF하고 하면 됩니다. 참고로 SET AUTOTRACE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SET AUTOTRACE OFF :
기본값으로 AUTOTRACE를 수행하지 않습니다.
SET AUTOTRACE ON EXPLAIN :
실행계획만을 출력
SET AUTOTRACE ON STATISTICS :
통계정보만을 출력
SET AUTOTRACE ON :
옵티마이저의 실행계획과 통계정보, 질의의 실행 결과를 함께 출력
SET AUTOTRACE TRACEONLY [EXPLAIN] : SET AUTOTRACE ON
과 유사하지만 옵티마이저의 실행계획과 통계정보를 출력, 만약 EXPAIN이라고 하면 실행계획만 출력 합니다.

SQL> conn / as sysdba
연결되었습니다.

SQL> @d:\app\A\product\11.2.0\dbhome_1\sqlplus\admin\plustrce.sql
SQL>
SQL> drop role plustrace;
drop role plustrace
          *
1
행에 오류:
ORA-01919:
'PLUSTRACE'()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SQL> create role plustrace;
롤이 생성되었습니다.

SQL>
SQL> grant select on v_$sesstat to plustrace;
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SQL> grant select on v_$statname to plustrace;
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SQL> grant select on v_$session to plustrace;
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SQL> grant plustrace to dba with admin option;
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SQL>
SQL> set echo off

SQL> grant plustrace to scott;
권한이 부여되었습니다.

SQL> conn scott/tiger
연결되었습니다.

SQL> @d:\app\A\product\11.2.0\dbhome_1\RDBMS\ADMIN\utlxplan.sql
테이블이 생성되었습니다.

여기 까지 하면 SQL*Plus에서 TRACE 하기위한 plustrace 롤을 SCOTT 이 부여 받았고 , 실행계획을 저장 할 테이블인 PLAN_TABLE도 생성된다.


/*
아래 set autotrace on SQL문이 실행될 때 마다 실행 계획과 통계정보, 그리고 SQL의 실행 결과까지 보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set autotrace trace라고만 하면 실행 계획과 통계정보만 보여 줍니다.기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OFF라고 하면 됩니다.
*/
<!--[if !supportLineBreakNewLine]-->
<!--[endif]-->
SQL>set autotrace trace   --쿼리 결과는 안 나온다.

SQL> select * from emp;
 
14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Execution Plan
----------------------------------------------------------
Plan hash value: 3956160932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14 |   532 |     3   (0)| 00:00:01 |
|   1 |  TABLE ACCESS FULL| EMP  |    14 |   532 |     3   (0)| 00:00:01 |
--------------------------------------------------------------------------


Statistics
----------------------------------------------------------
          1  recursive calls
          0  db block gets
          8  consistent gets
          0  physical reads
          0  redo size
       1467  bytes sent via SQL*Net to client
        415  bytes received via SQL*Net from client
          2  SQL*Net roundtrips to/from client
          0  sorts (memory)
          0  sorts (disk)
         14  rows processed


SQL> set autotrace off   --trace 기능 해제

SQL> select count(*) from emp;

  COUNT(*)
----------
        14


SQL> set autotrace on; 

SQL> select deptno, min(sal) from emp
  2  group by deptno
  3  having min(sal) > (select min(sal) from emp
  4                       where deptno = 30)

  5  order by deptno;

    DEPTNO   MIN(SAL)
---------- ----------
        10       1300


Execution Plan
----------------------------------------------------------
   0      SELECT STATEMENT Optimizer=CHOOSE
   1    0   FILTER
   2    1     SORT (GROUP BY)
   3    2       TABLE ACCESS (FULL) OF 'EMP'
   4    1     SORT (AGGREGATE)
   5    4       TABLE ACCESS (FULL) OF 'EMP'




Statistics
----------------------------------------------------------
        191  recursive calls  //
재귀호출의 횟수          
         5  db block gets //
현재의 블록이 요구된 횟수
(DML or SELECT FOR UPDATE등에 의한 current mode로 읽힌 블록 수)
         28  consistent gets //
한 블록에 대해 요구된 consistent read 횟수
(SELECT했을 때 읽기 일관성 모드로 읽힌 블록 수)
          7  physical reads //
디스크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 블록의 총 개수
          0  redo size 리두로그가 만들어진 크기(SIZE)
        448  bytes sent via SQL*Net to client //Client
에 보내진 바이트수
        503  bytes received via SQL*Net from client //client
로부터 받은 바이트 수
          2  SQL*Net roundtrips to/from client  //
클라이언트에 송/수신된 Net메시지 합계 수
          3  sorts (memory) //
메모리에서 일어난 소트의 수
         0  sorts (disk) //
디스트에서 일어나 소트의 수
       1  rows processed //
연산을 하는 동안 처리한 ROW의 수
    
재귀적 호출이란, 오라클은 내부 처리를 위한 테이블을 관리 하며 이 테이블을 변화 시킬 때 내부적인 SQL문장을 생성하는데 이를 재귀적인 호출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테이블의 존재나 권한의 체크 등을 위한 SQ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