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MAN – 개요
오라클 8부터 RMAN이라는 유틸리티를 제공 했는데 이 툴을 이용하여 까다로운 백업과 복구를 좀더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RMAN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arget DataBase : 백업의 대상 데이터베이스
2. Catalog DataBase : Target 데이터베이스의 백업과 복구 관련 정보 저장
3. Recovery Manager : Targe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백업/복구를 위한 유틸리티
4. Channel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백업.복구를 수행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디스크, 테이프 장치간의 Read/Write를 실제 수행하는 Process
5. Default Server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Target Database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Process
6. TCVCAT Server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Catalog Database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Process
7. Pooling Server Process : Target Database와 Catalog Database를 동기화(동기화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행)
* 이종철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6-04 12:27)
오라클 8부터 RMAN이라는 유틸리티를 제공 했는데 이 툴을 이용하여 까다로운 백업과 복구를 좀더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RMAN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Target DataBase : 백업의 대상 데이터베이스
2. Catalog DataBase : Target 데이터베이스의 백업과 복구 관련 정보 저장
3. Recovery Manager : Target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백업/복구를 위한 유틸리티
4. Channel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백업.복구를 수행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디스크, 테이프 장치간의 Read/Write를 실제 수행하는 Process
5. Default Server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Target Database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Process
6. TCVCAT Server Process : Recovery Manager가 Catalog Database에 접속할 때 기본적으로 활성화되는 Process
7. Pooling Server Process : Target Database와 Catalog Database를 동기화(동기화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행)
* 이종철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6-04 12:27)
![]() | ![]() ![]() | 12-27 | 2505 | |
![]() | ![]() ![]() | 12-11 | 1844 | |
53 | ![]() ![]() | 03-15 | 1649 | |
52 | ![]() ![]() | 01-31 | 1737 | |
51 | ![]() ![]() | 01-31 | 2509 | |
50 | ![]() ![]() | 01-31 | 1386 | |
49 | ![]() ![]() | 01-19 | 1685 | |
48 | ![]() ![]() | 01-11 | 1569 | |
47 | ![]() ![]() | 01-03 | 2072 | |
46 | ![]() ![]() | 12-27 | 2505 | |
45 | ![]() ![]() | 12-19 | 1802 | |
44 | ![]() ![]() | 12-14 | 1776 | |
43 | ![]() ![]() | 12-11 | 1844 | |
42 | ![]() ![]() | 12-09 | 1443 | |
41 | ![]() ![]() | 12-01 | 1669 | |
40 | ![]() ![]() | 12-01 | 1842 | |
39 | ![]() ![]() | 12-01 | 1315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