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Y란?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크린에 해당됩니다.
예로 텍스트 메시지 프로그램을 생각해 봅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개의 화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는 주소록의 리스트이고, 둘째는 메시지를 쓰는 공간이며, 세째는 옛날 메시지를 보는 화면이라 합시다. 이 프로그램에는 세개의 Activity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각 스크린으로 옮겨가면서 새로운 Activity가 시작됩니다. 때때로 Activity는 이전의 화면에 어떤 값을 넘겨줄수도 있습니다. 첫째에서 Contact를 결정하고 둘째로 가 메시지를 쓴다는 시나리오하에서 첫째 Activity가 Contact의 ID을 둘째 Activity 로 넘기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예로 텍스트 메시지 프로그램을 생각해 봅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개의 화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는 주소록의 리스트이고, 둘째는 메시지를 쓰는 공간이며, 세째는 옛날 메시지를 보는 화면이라 합시다. 이 프로그램에는 세개의 Activity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 각 스크린으로 옮겨가면서 새로운 Activity가 시작됩니다. 때때로 Activity는 이전의 화면에 어떤 값을 넘겨줄수도 있습니다. 첫째에서 Contact를 결정하고 둘째로 가 메시지를 쓴다는 시나리오하에서 첫째 Activity가 Contact의 ID을 둘째 Activity 로 넘기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새 화면이 열리면, 이전의 화면은 "Pause"되고 "History stack" 에 쌓이게 됩니다. 사용자는 이 스택을 거슬러 올라갈수도 있고, 한 화면을 그 스택내에서 삭제해 버릴수도 있습니다.

![]() | ![]() ![]() | 12-27 | 2437 | |
![]() | ![]() ![]() | 12-11 | 1788 | |
53 | ![]() ![]() | 03-15 | 1599 | |
52 | ![]() ![]() | 01-31 | 1692 | |
51 | ![]() ![]() | 01-31 | 2319 | |
50 | ![]() ![]() | 01-31 | 1335 | |
49 | ![]() ![]() | 01-19 | 1644 | |
48 | ![]() ![]() | 01-11 | 1500 | |
47 | ![]() ![]() | 01-03 | 2029 | |
46 | ![]() ![]() | 12-27 | 2437 | |
45 | ![]() ![]() | 12-19 | 1755 | |
44 | ![]() ![]() | 12-14 | 1731 | |
43 | ![]() ![]() | 12-11 | 1788 | |
42 | ![]() ![]() | 12-09 | 1403 | |
41 | ![]() ![]() | 12-01 | 1631 | |
40 | ![]() ![]() | 12-01 | 1806 | |
39 | ![]() ![]() | 12-01 | 1280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