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ort와 Import는 가장 유용하게 그리고 자주 사용되는 백업관련 DBA ToolKit 입니다.
SQL*Loader는 외부 데이터를 오라클 서버로 업로드 하는 역할을 수행 하지만 Export/Import는 오라클 서버의 데이터를 다른 오라클 서버(이때 플랫폼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윈도우용 오라클에서 Export 받은 파일을 Unix/Linux 서버 기반의 오라클로 Import 하는것이 가능하다) 또는 같은 서버의 다른 사용자로 Import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먼저 Export부터 그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자.
1. Export
- EXport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백업을 제공 한다. 즉 테이블, 데이블스페이스,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 그리고 사용자가 만든 스키마 오브젝트(Index, View, Synonym, Trigger, DataBase Link, sequence, stored code 등등)등을 백업 받을 수 있는 것이다.
- Export 유틸리티의 Output은 export dump 파일 이다. 이 파일은 import Utility를 통해 읽혀져 다른 데이터베이스등으로 복구 되는 것이다.
- Export 파라미터 많은 파라미터중 UserID라는 파라미터는 꼭 가져야 한다는 것을 기억 하자. Exp 명령 입 력하고 아무 파라미터도 주지 않는 경우 기본(Default) 값을 제공하면서 입력을 위한 프 롬프트를 보여준다.(이때 사용자 ID와 PASSWORD)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USERID : username/password를 값으로 입력 한다.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만약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백업 받기 위해 서는 기술된 User는 명시적으로 exportfull database 롤(Role)을 부여 받아야 한다. FILE : 출력 파일의 이름(Export후 생기는 dump 파일 이름) ROWS : Export Dump 파일에 테이블 행(데이터) 포함 여부 표시: (Y)es/(N)o 만약 여러분이 테이블 구조만 export하고 실제 row data는 백업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rows=n 이라고 명시 해야 한다.(default값은 y) Query : 테이블의 특정 부분만을 Export 하기 위해서 사용 한다. (exp userid=scott/tiger tables=emp query=\"where sal \> 2000 \ ----------------------------------------- Export Mode와 관련된 파라미터
FULL : DataBase 레벨의 Export를 수행할지 여부를 표시, 전체 데이터베이스 익스포트 여부를 표시: (Y)es/(N)o (exp userid=system/manager
SQL*Loader는 외부 데이터를 오라클 서버로 업로드 하는 역할을 수행 하지만 Export/Import는 오라클 서버의 데이터를 다른 오라클 서버(이때 플랫폼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윈도우용 오라클에서 Export 받은 파일을 Unix/Linux 서버 기반의 오라클로 Import 하는것이 가능하다) 또는 같은 서버의 다른 사용자로 Import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먼저 Export부터 그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기로 하자.
1. Export
- EXport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백업을 제공 한다. 즉 테이블, 데이블스페이스, 데이터를 포함한 사용자, 그리고 사용자가 만든 스키마 오브젝트(Index, View, Synonym, Trigger, DataBase Link, sequence, stored code 등등)등을 백업 받을 수 있는 것이다.
- Export 유틸리티의 Output은 export dump 파일 이다. 이 파일은 import Utility를 통해 읽혀져 다른 데이터베이스등으로 복구 되는 것이다.
- Export 파라미터 많은 파라미터중 UserID라는 파라미터는 꼭 가져야 한다는 것을 기억 하자. Exp 명령 입 력하고 아무 파라미터도 주지 않는 경우 기본(Default) 값을 제공하면서 입력을 위한 프 롬프트를 보여준다.(이때 사용자 ID와 PASSWORD)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USERID : username/password를 값으로 입력 한다.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만약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백업 받기 위해 서는 기술된 User는 명시적으로 exportfull database 롤(Role)을 부여 받아야 한다. FILE : 출력 파일의 이름(Export후 생기는 dump 파일 이름) ROWS : Export Dump 파일에 테이블 행(데이터) 포함 여부 표시: (Y)es/(N)o 만약 여러분이 테이블 구조만 export하고 실제 row data는 백업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rows=n 이라고 명시 해야 한다.(default값은 y) Query : 테이블의 특정 부분만을 Export 하기 위해서 사용 한다. (exp userid=scott/tiger tables=emp query=\"where sal \> 2000 \ ----------------------------------------- Export Mode와 관련된 파라미터
FULL : DataBase 레벨의 Export를 수행할지 여부를 표시, 전체 데이터베이스 익스포트 여부를 표시: (Y)es/(N)o (exp userid=system/manager
![]() | ![]() ![]() | 12-27 | 2641 | |
![]() | ![]() ![]() | 12-11 | 1909 | |
53 | ![]() ![]() | 03-15 | 1723 | |
52 | ![]() ![]() | 01-31 | 1847 | |
51 | ![]() ![]() | 01-31 | 2684 | |
50 | ![]() ![]() | 01-31 | 1437 | |
49 | ![]() ![]() | 01-19 | 1759 | |
48 | ![]() ![]() | 01-11 | 1645 | |
47 | ![]() ![]() | 01-03 | 2163 | |
46 | ![]() ![]() | 12-27 | 2641 | |
45 | ![]() ![]() | 12-19 | 1868 | |
44 | ![]() ![]() | 12-14 | 1838 | |
43 | ![]() ![]() | 12-11 | 1909 | |
42 | ![]() ![]() | 12-09 | 1499 | |
41 | ![]() ![]() | 12-01 | 1730 | |
40 | ![]() ![]() | 12-01 | 1907 | |
39 | ![]() ![]() | 12-01 | 1373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