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Types of Data Integrity
A. Nulls
- 기본적으로 Column은 Null을 허용한다.
Column에 대해서 null을 포함하는 row들의 insert나 또는 update를 허용하는 또는 허용하지 않는 하나의 column에 대해서 정 의되는 규칙.
B. Unique Column Values
-Column(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대해서 unique value를 포함하는 row들의 insert나 또는 update만을 허용하는 column들(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대해서 정
의되는 규칙, 즉 지정된 열또는 열들에서중복된 값을 허용안함
- Unique 제약조건을 구성하는 열중 일부분이 Null을 허용한다면 Null을 허용하지 않는 열은 동일한 값을 가질수 없다.
C. Primary Key Values
-Table에 있는 각 row는 column(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있는 value들에 의해서 유일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column(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정의된
규칙.
- Primary Key Column은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
- 만약 dept Table의 dept_no Column이 Primary Key라면 해당열에 대한 고유 인덱스를 암시적으로 생성하며 해당열에대해 not null제약조건을 암시적으로 생성한다.
- Primary Key Column은 16개 까지로 제한됨
D. Referential Integrity(참조 무결성)과 Foreign Key 무결성 제약조건
- 만약 Column 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대한 값(the dependent value)이 관련된 table의 column에 있는 값(the referenced value)과 match 된다면 하나의 row에
대한 insert 또는 update만을 허용하는 하나의 table에 존재하는 column(또는 column들의 집합)에 대해서 정의된 규칙.
-Referential integrity는 또한 어떤 data 조작의 유형이 참조되는 값들에 허용되는 지와 이러한 action들이 종속된 값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를 지시하는 규칙들을 포함한다.
Restrict
참조되는 data의 update 또는 deletion을 허용하지 않는 referential
integrity.
Set to Null
참조되는 data가 update되거나 delete될 때, 관련되는 모든 종속된 data는 NUll이 설정된다.
Set to Default
참조되는 data가 update되거나 delete될 때, 관련되는 모든 종속된 data는 default value가 설정된다.
Cascade
참조되는 data가 update될 때, 관련되는 모든 종속된 data도 update된다; 참조되는 row가 delete될 때, 관련되는 모든 종속된 row들도 delete된다.
F. Check Constrints
- 각 열또는 열집합에 대한 Check Constraints는 지정된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알수있게 한다.
- 사용자가 확인 조건을 지정함으로서 특수하거나 복잡한 무결성 조건을 시행한다.
- 문자열 리터럴이나 인수(투캐랙터, 투넘버, 투데이트)로 NLS 매개변수를 가지는 SQL을 포함한는 제약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Oracle은 기본적으로 DataBase의 NLS설정값을 사용한다.
2013년 8월 10일 토요일
2013년 8월 8일 목요일
자바의 연산자
이번 강좌에서는 자바에서의 연산자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언어를 공부해 보신 분들은 수도 없이 많이 보셨던 부분입니다. 잘 모르셔도 됩니다. 뒤에 공부하시다 보면 저절로 아시는 것도 있을 것이며 나중에 원하는 일을 하시다가 다시 아시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러나 기본이 없으면 오래가지 못합니다. 간단히 공부해 두시기 바랍니다.
자바에서 연산자는
산술연산자(Arithmetic Operator) --> 단항연산자(++,--), 이항연산자(+,-,*,/)
관계연산자(Relational Operator) -->>, >=, <, ><=, ==, != >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 -->&&, ||, &, |, !
비트연산자(Bitwise Operator) -->&, |, ^, ~, >>, >>>, <><
조건연산자(Conditional Operator) --> ?(삼항연산자)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 +=, -=, *=, /=, &=, ^=, |=, <><=, >>=, >>>=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연산자의 우선 순위는 괄호를 치시면 되니까 별다르게 고려 하지 않겠습니다.
1. ++, --, !, ~, instanceof
단항 연산자이다.
! : 논리형 자료형(boolean)의 부정
~ : 정수형 자료에 대한 보수 연산
++, -- : 단항 연산자, 변수의 앞쪽에 붙는 경우와 뒤쪽에 붙는 경우의 동작 형태가 다르다.
앞에 붙은 경우 : 연산이 수행된 다음 값
뒤에 붙는 경우 : 연산이 수행되기 전의 값
아래의 예제를 실습해 보세요~
[예제]
public class Op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8;
//이진수 형태로 출력 합니다.(0이 아닌것 부터 출력)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a= ~a; //보수 연산, 1은0으로 0은 1로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a = 8;
a = a++;
System.out.println("a = " +a);
a = a++ +1;
System.out.println("a++ +1 = " +a);
}
}
[결과]
1000(앞 부분에 있는 0000~ 은 출력하지 않는다...)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
a = 8
a++ +1 = 9
2. <><, >>, >>>
비트연산에 관련된 연산자(Shift 연산자) 입니다.
<>< 연산자는 좌측 쉬프트 이므로 2를 곱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연산자는 우측 쉬프트 이므로 2로 나누는 효과가 있습니다.
<><, >> 연산자인 경우 부호를 고려 한다는것을 명심하세요~
당연히 부호를 고려하므로 왼쪽을 해당 부호 비트로 채웁니다.
>>> 연산자인 경우 왼쪽을 0으로 채웁니다. 부호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양수인 경우 >>, >>> 연산자는 같은 효과 이지만 음수인 경우 다른 결과가 나타 납니다.
[예제]
public class Shif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64;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
}
[결과]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3.<, >, >=, <=, ==, !=
관계 연산자들 이며 연산의 결과로 boolean 값을 리턴 합니다.
이 연산자의 대상은 기본형 데이터에 한정되며 객체에 대해서는 쓰이지 못 합니다.
예)System.out.println(5 > 7);
==, != 또한 관계 연산자 이나 위의 것 보다 우선 순위가 낮다. 연산자의 두 항이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boolean 값을 돌려 줍니다.
==, != 연산자는 객체에 대해 사용이 가능한데 그 기준은 객체가 같은 메모리 영역에 있는지 아닌지로서 평가 합니다.
4.&, ^, |, &&, ||
& : 비트 AND
^ : 비트 XOR
| : 비트 OR
&& : ‘&’와 같이 AND 연산을 하지만 대상은 boolean
|| : ‘|’와 같이 OR 연산을 하지만 대상은 boolean
5. ?
조건연산자 이며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형식 : (조건) ? (참 일때의 식) : (거짓 일때의 식)
if 문등을 몇줄에 걸쳐 써야 하는것을 간략하게 기술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예]
int i=2;
int result = i<5 ? i+10 : i/2; >
System.out.println(result);
6. =, op=
할당 연산자 이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Op=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 *=, /=, &=, ^=, |=, <><=, >>=, >>>=
대부분 언어를 공부해 보신 분들은 수도 없이 많이 보셨던 부분입니다. 잘 모르셔도 됩니다. 뒤에 공부하시다 보면 저절로 아시는 것도 있을 것이며 나중에 원하는 일을 하시다가 다시 아시게 되는 경우도 있을 겁니다. 그러나 기본이 없으면 오래가지 못합니다. 간단히 공부해 두시기 바랍니다.
자바에서 연산자는
산술연산자(Arithmetic Operator) --> 단항연산자(++,--), 이항연산자(+,-,*,/)
관계연산자(Relational Operator) -->>, >=, <, ><=, ==, != >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 -->&&, ||, &, |, !
비트연산자(Bitwise Operator) -->&, |, ^, ~, >>, >>>, <><
조건연산자(Conditional Operator) --> ?(삼항연산자)
할당연산자(Assignment Operator) --> +=, -=, *=, /=, &=, ^=, |=, <><=, >>=, >>>=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연산자의 우선 순위는 괄호를 치시면 되니까 별다르게 고려 하지 않겠습니다.
1. ++, --, !, ~, instanceof
단항 연산자이다.
! : 논리형 자료형(boolean)의 부정
~ : 정수형 자료에 대한 보수 연산
++, -- : 단항 연산자, 변수의 앞쪽에 붙는 경우와 뒤쪽에 붙는 경우의 동작 형태가 다르다.
앞에 붙은 경우 : 연산이 수행된 다음 값
뒤에 붙는 경우 : 연산이 수행되기 전의 값
아래의 예제를 실습해 보세요~
[예제]
public class Op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8;
//이진수 형태로 출력 합니다.(0이 아닌것 부터 출력)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a= ~a; //보수 연산, 1은0으로 0은 1로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a = 8;
a = a++;
System.out.println("a = " +a);
a = a++ +1;
System.out.println("a++ +1 = " +a);
}
}
[결과]
1000(앞 부분에 있는 0000~ 은 출력하지 않는다...)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111
a = 8
a++ +1 = 9
2. <><, >>, >>>
비트연산에 관련된 연산자(Shift 연산자) 입니다.
<>< 연산자는 좌측 쉬프트 이므로 2를 곱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연산자는 우측 쉬프트 이므로 2로 나누는 효과가 있습니다.
<><, >> 연산자인 경우 부호를 고려 한다는것을 명심하세요~
당연히 부호를 고려하므로 왼쪽을 해당 부호 비트로 채웁니다.
>>> 연산자인 경우 왼쪽을 0으로 채웁니다. 부호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양수인 경우 >>, >>> 연산자는 같은 효과 이지만 음수인 경우 다른 결과가 나타 납니다.
[예제]
public class Shift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64;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1));
System.out.println(Integer.toBinaryString(a>>>2));
}
}
[결과]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3.<, >, >=, <=, ==, !=
관계 연산자들 이며 연산의 결과로 boolean 값을 리턴 합니다.
이 연산자의 대상은 기본형 데이터에 한정되며 객체에 대해서는 쓰이지 못 합니다.
예)System.out.println(5 > 7);
==, != 또한 관계 연산자 이나 위의 것 보다 우선 순위가 낮다. 연산자의 두 항이 같은지 다른지에 따라 boolean 값을 돌려 줍니다.
==, != 연산자는 객체에 대해 사용이 가능한데 그 기준은 객체가 같은 메모리 영역에 있는지 아닌지로서 평가 합니다.
4.&, ^, |, &&, ||
& : 비트 AND
^ : 비트 XOR
| : 비트 OR
&& : ‘&’와 같이 AND 연산을 하지만 대상은 boolean
|| : ‘|’와 같이 OR 연산을 하지만 대상은 boolean
5. ?
조건연산자 이며 형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형식 : (조건) ? (참 일때의 식) : (거짓 일때의 식)
if 문등을 몇줄에 걸쳐 써야 하는것을 간략하게 기술 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예]
int i=2;
int result = i<5 ? i+10 : i/2; >
System.out.println(result);
6. =, op=
할당 연산자 이며 우선 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Op= 연산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 *=, /=, &=, ^=, |=, <><=, >>=, >>>=
2013년 8월 4일 일요일
Oracle SGA(Oracle System Global Area)
SGA는 DataBase Buffer Cache,Redo Log Buffer, Shared Pool등으로 구성된다.
1.DataBase Buffer Cache
- DataFile로 부터 읽어들인 Data Block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습니다.
- Cache내의 Buffer에는 수정되었지만 디스크에 기록되지 않은 Dirty Buffer와
빈버퍼,고정된버퍼,아직 더티목록으로 이동되지 않은 더티목록등으로 구성되는
LRU목록등이 있다.
- Oracle은 사용자 프로세스가 빈버퍼를 찾지 못하고 버퍼의 임계점에 도달하면
프로세스는 LRU목록 검색을 중지하고 Dirty Buffer를 Disk에 기록하도록 DBWR에
신호를 보낸다.
- 초기 Parameter DB_BLOCK_BUFFERS는 DB의 DataBase Buffer Cache의 Buffer수를 지
정합니다. Cache의 Buffer는 하나의 Oracle Data Block과 동일하며,Cache는 제한된
크기이므로 Cache가 가득찬후 Cache실패가 발생하면 Oracle은 Cache에 있는 Data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 size가 작으므로 발생 할 수 있는 현상은 빈번한 디스크 I/O이다. 크기는 db_block_buffers로
지정하며 buffer의 갯수를 지정한다.
byte 산정은 db_block_buffers * db_block_size로 산출된다.
2.Redo Log Buffer
- DataBase의 변경사항 정보를 유지하는 SGA에 있는 원형 Buffer
- BackGround 프로세스인 LGWR는 Redo Log Buffer를 디스크상에서 사용중인 Online
Redo Log File Group에 기록한다.
- Redo Log Buffer의 크기는 Parameter LOG_BUFFER로 결정한다
큰 값을 가질경우 Log File의 I/O가 감소하며,트랜잭션이 길고 수가 많은 경우에 특히 더감소한다.
기본크기는 OS DataBlock의 4배임.
3.공유풀(Shared Pool)
A. Library Cache
- 공유 SQL영역, 전용SQL영역,PL/SQL Procedure와 Package, 잠금장치나 Library
Cache Handle과 같은 제어구조를 포함한다.
- 공유 SQL영역은 단일 SQL명령문에 대한 구문분석 트리와 실행계획을 가지는 영
역이며, 전용SQL영역은 바인드정보나 실행 시간 버퍼(SQL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
되는 정보, Insert/Update/Delete보다 Select가 많음) 같은 데이터를 가지는 영역
- 전용SQL여역을 관리하는 것은 사용자 프로세스이고,사용자 프로세스가 할당할수
있는 전용SQL영역의 수는 OPEN_CURSORS(Default 50)로 제한 되지만 전용SQL
영역할당 또는 해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 도구에 의해 좌우됨
B. Dictionary Cache
- Data Dictionary(Table/View의 이름,Column이름과유현,Oracle사용자 권한)는 자주
Access되므로 메모리에 두개의 특별한 위치를 지정하여 Dicitonary Data를 저장
- 공유풀에서 메모리 할당 및 재사용
공유풀에 있는 항목은 수정된 LRU 알고리즘에 의해 지워질 때 까지 남아있다.
Oracle은 공유풀을 확인하여 동일한 명령문이 공유풀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같은 Query라도 대순자를 틀리게하여 Query하는 경우에는 틀린것으로 인식하여
또다른 공유풀의 영역을 할당한다.(즉 SELECT * FROM EMP와 select * from emp는 다르게 인식)
이렇게 함으로서 메모리를 절약하며,수행능력이 향상된다.
- ANALYZE명령어를 사용하여 Table/Cluster/Index의 통계를 할경우 분석된 개체를 참조하는
명령문을 포함하는 모든 공유 SQL영역이 공유풀에서 지워진다.
- SGA의 크기는 Instance 시작시에 결정되며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성능을 최적화 하려면 전체
SGA의 크기가 실제 Memory 크기에 맞아야 한다.가상메모리를 사용하면 OS가 SGA의 일부를
Page 하므로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 SGA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Parameter
DB_BLOCK_SIZE : 하나의 Data Block과 DataBase Buffer크기를 Byte 단위로 나타낸 것
DB_BLOCK_BUFFERS : DB_BLOCK_SIZE인 데이터베이스 Buffer수를 나타냄
LOG_BUFFER : 리두로그 버퍼에 대한 할당된 바이트수
SHARED_POOL_SIZE : 공유SQL영역과 PL/SQL명령문에 할당된 영역의 크기를 Byte
단위로 나타낸 것
[출처]오라클자바커뮤니티, 오엔제이프로그래밍
www.onjprogramming.co.kr
1.DataBase Buffer Cache
- DataFile로 부터 읽어들인 Data Block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습니다.
- Cache내의 Buffer에는 수정되었지만 디스크에 기록되지 않은 Dirty Buffer와
빈버퍼,고정된버퍼,아직 더티목록으로 이동되지 않은 더티목록등으로 구성되는
LRU목록등이 있다.
- Oracle은 사용자 프로세스가 빈버퍼를 찾지 못하고 버퍼의 임계점에 도달하면
프로세스는 LRU목록 검색을 중지하고 Dirty Buffer를 Disk에 기록하도록 DBWR에
신호를 보낸다.
- 초기 Parameter DB_BLOCK_BUFFERS는 DB의 DataBase Buffer Cache의 Buffer수를 지
정합니다. Cache의 Buffer는 하나의 Oracle Data Block과 동일하며,Cache는 제한된
크기이므로 Cache가 가득찬후 Cache실패가 발생하면 Oracle은 Cache에 있는 Data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 size가 작으므로 발생 할 수 있는 현상은 빈번한 디스크 I/O이다. 크기는 db_block_buffers로
지정하며 buffer의 갯수를 지정한다.
byte 산정은 db_block_buffers * db_block_size로 산출된다.
2.Redo Log Buffer
- DataBase의 변경사항 정보를 유지하는 SGA에 있는 원형 Buffer
- BackGround 프로세스인 LGWR는 Redo Log Buffer를 디스크상에서 사용중인 Online
Redo Log File Group에 기록한다.
- Redo Log Buffer의 크기는 Parameter LOG_BUFFER로 결정한다
큰 값을 가질경우 Log File의 I/O가 감소하며,트랜잭션이 길고 수가 많은 경우에 특히 더감소한다.
기본크기는 OS DataBlock의 4배임.
3.공유풀(Shared Pool)
A. Library Cache
- 공유 SQL영역, 전용SQL영역,PL/SQL Procedure와 Package, 잠금장치나 Library
Cache Handle과 같은 제어구조를 포함한다.
- 공유 SQL영역은 단일 SQL명령문에 대한 구문분석 트리와 실행계획을 가지는 영
역이며, 전용SQL영역은 바인드정보나 실행 시간 버퍼(SQL이 실행되는 동안 사용
되는 정보, Insert/Update/Delete보다 Select가 많음) 같은 데이터를 가지는 영역
- 전용SQL여역을 관리하는 것은 사용자 프로세스이고,사용자 프로세스가 할당할수
있는 전용SQL영역의 수는 OPEN_CURSORS(Default 50)로 제한 되지만 전용SQL
영역할당 또는 해제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 도구에 의해 좌우됨
B. Dictionary Cache
- Data Dictionary(Table/View의 이름,Column이름과유현,Oracle사용자 권한)는 자주
Access되므로 메모리에 두개의 특별한 위치를 지정하여 Dicitonary Data를 저장
- 공유풀에서 메모리 할당 및 재사용
공유풀에 있는 항목은 수정된 LRU 알고리즘에 의해 지워질 때 까지 남아있다.
Oracle은 공유풀을 확인하여 동일한 명령문이 공유풀에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같은 Query라도 대순자를 틀리게하여 Query하는 경우에는 틀린것으로 인식하여
또다른 공유풀의 영역을 할당한다.(즉 SELECT * FROM EMP와 select * from emp는 다르게 인식)
이렇게 함으로서 메모리를 절약하며,수행능력이 향상된다.
- ANALYZE명령어를 사용하여 Table/Cluster/Index의 통계를 할경우 분석된 개체를 참조하는
명령문을 포함하는 모든 공유 SQL영역이 공유풀에서 지워진다.
- SGA의 크기는 Instance 시작시에 결정되며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성능을 최적화 하려면 전체
SGA의 크기가 실제 Memory 크기에 맞아야 한다.가상메모리를 사용하면 OS가 SGA의 일부를
Page 하므로 시스템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 SGA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Parameter
DB_BLOCK_SIZE : 하나의 Data Block과 DataBase Buffer크기를 Byte 단위로 나타낸 것
DB_BLOCK_BUFFERS : DB_BLOCK_SIZE인 데이터베이스 Buffer수를 나타냄
LOG_BUFFER : 리두로그 버퍼에 대한 할당된 바이트수
SHARED_POOL_SIZE : 공유SQL영역과 PL/SQL명령문에 할당된 영역의 크기를 Byte
단위로 나타낸 것
[출처]오라클자바커뮤니티, 오엔제이프로그래밍
www.onjprogramming.co.kr
라벨:
오라클 SGA,
oracle sga,
oracle sga란,
SA란,
SGA구조,
SQL RETURNING,
SQL강의,
SQL강좌,
SQL교육,
SQL학원,
SQLCASE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