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오라클 SG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오라클 SG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10월 23일 수요일

오라클 테이블 단편화(행이행, 행연쇄) 체크 (Oracle Table chain )

오라클 테이블 단편화(행이행, 행연쇄) 체크 (Oracle Table chain )



블록사이즈가 4K인데 레코드의 한행이 4K이상이라면 여러 블럭에 나누어 저장되게 되는데 이를
행연쇄 라고 하구요, 처음 insert문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는 작았는데 추후 많은 량의 데이터로 update
하게되어 해당 불록에 다 기록할 수 없어 다른 블록에 기록할 수 있는 데 이를 행이동 이라고 합니다.

행이행의 경우 원래의 블록에 새로운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두며 갱신전 데이터가 있는 영역은 사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처럼 재이용되지 못하는 영역이 생기는 것을 단편화라고 하며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Analyze를 이용하여 통계 데이터를 추출 합니다.

SQL>analyze table emp compute statistics


행이행과 행연쇄가 있는지 조사 합니다. 아래에서 chain_cnt 값은 행이행이나 행연쇄로 인해
여러 블록으로 쪼개져 있는 행의 수를 의미합니다.

SQL> SELECT table_name, num_rows, blocks, empty_blocks, avg_space, chain_cnt
        FROM    dba_table
        WHERE chain_cnt > 0; 

2013년 10월 19일 토요일

[Spring Container에서 자바빈 로딩하는 방법2가지]Spring Framework Lazy Loading, Pre Loading,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Spring Container에서 자바빈 로딩하는 방법2가지]Spring Framework Lazy Loading, Pre Loading,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자바빈을 로딩(인스턴스로 만든 후 바인딩)하는 데 있어 두가지 방법을 제공한다.

두 방법은 lazy biding, pre-loading 이다.
 
1. Lazy Binding
 
자바빈이 다른 메소드 또는 클래스의 요청에 의해 호출되는 시점에 로드되는 방법이다.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Factory와 하위클래스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서는 관련빈을 호출되는 시점에 로딩한다.
 
아래 예를 보자.
 
BeanFactory factory = new XmlBeanFactory(
                        new InputStreamResource(
                        new FileInputStream("onj.xml")));    
             
OrderManager orderManager = (OrderManager) factory.getBean("orderManager"); 

우선 위 예문의 경우 onj.xml이 메모리에 로딩되더라도 orderManager 빈은 인스턴스화 되지 않는다.  즉 getBaean("orderManager")하는 순간 메모리로 올라오는 것이다.

결국 getBean 메소드가 호출되는 시점에 할 일이 많아 지는 것이다.

2. Pre-Loading
 
컨테이너에서 XML 파일을 로딩하자 마자 정의된 자바빈들을 로딩하는 방법.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가 수행한다.
 
//모든 싱글톤 자바빈들이 메모리로 로딩
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ClassPathXmlApplicationContext("onj.xml");
           
//필요한 빈을 리턴           
OrderManager orderManager = (OrderManager) context.getBean("orderManager");

2013년 10월 15일 화요일

테이블이 몇개의 블록을 사용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각각의 테이블의 행(로우, ROW)은 의사 컬럼인 rowid를 가지고 있습니다.

테이블이 몇개의 블록을 사용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각각의 테이블의 행(로우, ROW)은 의사 컬럼인 rowid를 가지고 있습니다 rowid에는 그 Rows의 물리적인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는데 파일번호블록번호블록내 행 번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데이터파일을 가지는 테이블스페이스에 테이블 데이터가 저장 되면 이 테이블의
ROWID는 유일한 블록번호(즉 하나의 테이블의 행들이 같은 블록 번호를 중복해서 가지지않는다는 의미)를 가지는 반면에 둘 이상의 데이터파일로 구성되는 테이블스페이스인 경우에 테이블에 데이터가 저장 되면 동일한 블록번호(서로 다른 파일에 각각의 블록 번호가 부여 되므로)를 가질 수 있습니다이러한 경우엔 블록번호와 파일번호 두 개의 항목을 조합하여 ROWID로부터 유일한 번호를 얻어 낼 수 있습니다.
 
즉 테이블이 몇 개의 블록으로 구성 되어 있는지는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구하면 되는데DBMS_ROWID라는 패키지를 이용하여 rowid에서 특정 값(파일번호블록번호등)을 얻어 낼 수 있습니다.
 
Rowid를 조회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QL> select rowid, jumin, name from addrbook;
rowed                            JUMIN      NAME
------------------ -------------- ------------
AAAJMZAABAAAPEKAAA 111111-2222222    
: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홍길동

AAAJMZAABAAAPEKAAB 333333-4444444    
가길동
AAAJMZAABAAAPEKAAC 111111-2222222    
홍길동
 
다음과 같이 유일한 블록의 개수(테이블이 몇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카운팅 할 수 있습니다.
 
SQL> SELECT COUNT ( DISTINCT
  2           DBMS_ROWID.ROWID_BLOCK_NUMBER(rowid)
  3           ||
  4           DBMS_ROWID.ROWID_RELATIVE_FNO(rowid)
  5         ) "Used"
  6  FROM scott.emp;
 
      Used
----------
         2
 
 
또는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가능 합니다.
 
SQL> SELECT COUNT (DISTINCT SUBSTR(rowid,1,15)) "Used"
  2  FROM scott.emp;
 
      Used
----------
         2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2013년 10월 3일 목요일

[ORACLESQL강좌,오라클SQL가로출력, 오라클 SQL] 하나의 테이블 값을 가로로 두 번 표시하는 방법

[ORACLESQL강좌,오라클SQL가로출력, 오라클 SQL] 하나의 테이블 값을 가로로 두 번 표시하는 방법

오라클 SQL 하나의 테이블 값을 가로로 두 번 표시.

아래 EMP TABLE의 원본 데이터가 있다고 할 때

SQL> select empno, ename from emp;

    EMPNO ENAME
---------- ----------
      7369 SMITH
      7499 ALLEN
      7521 WARD
      7566 JONES
      7654 MARTIN
      7698 BLAKE
      7782 CLARK
      7788 SCOTT
      7839 KING
      7844 TURNER
      7876 ADAMS
      7900 JAMES
      7902 FORD
      7934 MILLER

14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위 원본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한 테이블의 값을 가로로 두 번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ORD      EMPNO ENAME      JOB            EMPNO ENAME      JOB
----- ---------- ---------- --------- ---------- ---------- ---------
    1      7369 SMITH      CLERK          7499 ALLEN      SALESMAN
    2      7521 WARD      SALESMAN        7566 JONES      MANAGER
    3      7654 MARTIN    SALESMAN        7698 BLAKE      MANAGER
    4      7782 CLARK      MANAGER        7788 SCOTT      ANALYST
    5      7839 KING      PRESIDENT      7844 TURNER    SALESMAN
    6      7876 ADAMS      CLERK          7900 JAMES      CLERK
    7      7902 FORD      ANALYST        7934 MILLER    CLERK.



STEP 1 : 우선 ROWNUM을 짝수, 홀수로 구분하여 가로로 표시한다.


SQL> SELECT ROWNUM,TRUNC((ROWNUM+1)/2) AS ORD,
  2            DECODE(MOD(ROWNUM,2),1,EMPNO,NULL) AS FIRST_EMPNO,
  3            DECODE(MOD(ROWNUM,2),0,EMPNO,NULL) AS SECOND_EMPNO
  4      FROM  EMP;

    ROWNUM        ORD FIRST_EMPNO SECOND_EMPNO
---------- ---------- ----------- ------------
        1          1        7369
        2          1                    7499
        3          2        7521
        4          2                    7566
        5          3        7654
        6          3                    7698
        7          4        7782
        8          4                    7788
        9          5        7839
        10          5                    7844
        11          6        7876
        12          6                    7900
        13          7        7902
        14          7                    7934

14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STEP 2 : 빈 컬럼을 없애기 위해 SUM(DECODE...) 를 사용한다.

SQL>  SELECT TRUNC((ROWNUM+1)/2) AS ORD,
  2              SUM(DECODE(MOD(ROWNUM,2),1,EMPNO,NULL)) AS FIRST_EMPNO,
  3              SUM(DECODE(MOD(ROWNUM,2),0,EMPNO,NULL)) AS SECOND_EMPNO
  4      FROM  EMP
  5      GROUP BY TRUNC((ROWNUM+1)/2);

      ORD FIRST_EMPNO SECOND_EMPNO
---------- ----------- ------------
        1        7369        7499
        2        7521        7566
        3        7654        7698
        4        7782        7788
        5        7839        7844
        6        7876        7900
        7        7902        7934

7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STEP 3 : 해당 EMPNO 컬럼에 ENAME, JOB 데이터를 덧붙인다.

SQL> SELECT ORD,
  2        F_EMPNO AS EMPNO,A.ENAME,A.JOB,
  3        S_EMPNO AS EMPNO,B.ENAME,B.JOB
  4  FROM  ( SELECT ORD,
  5                  SUM(FIRST_EMPNO)  AS F_EMPNO,
  6                  SUM(SECOND_EMPNO) AS S_EMPNO
  7          FROM  ( SELECT TRUNC((ROWNUM+1)/2) AS ORD,
  8                          DECODE(MOD(ROWNUM,2),1,EMPNO,NULL) AS FIRST_EMPNO,
  9                          DECODE(MOD(ROWNUM,2),0,EMPNO,NULL) AS SECOND_EMPNO
 10                    FROM EMP)
 11          GROUP BY ORD ), EMP A, EMP B
 12  WHERE  F_EMPNO = A.EMPNO
 13  AND    S_EMPNO = B.EMPNO(+)
 14  ORDER BY ORD ;

OUTER 조인을 사용하지 않으면 SECOND_EMPNO 컬럼의 값이 NULL인 경우 전체 로우의 값이 나오지 않게 되므로 반드시 S_EMPNO와 조인되는 B.EMPNO 컬럼에 (+) 사인을 추가해야 한다.

ORD      EMPNO ENAME      JOB            EMPNO ENAME      JOB
---- ---------- ---------- --------- ---------- ---------- ---------
  1      7369 SMITH      CLERK          7499 ALLEN      SALESMAN
  2      7521 WARD      SALESMAN        7566 JONES      MANAGER
  3      7654 MARTIN    SALESMAN        7698 BLAKE      MANAGER
  4      7782 CLARK      MANAGER        7788 SCOTT      ANALYST
  5      7839 KING      PRESIDENT      7844 TURNER    SALESMAN
  6      7876 ADAMS      CLERK          7900 JAMES      CLERK
  7      7902 FORD      ANALYST        7934 MILLER    CLERK

7 개의 행이 선택되었습니다.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  



[ORACLE강좌,오라클교육]오라클테이블 참조무결성, TABLE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ORACLE강좌,오라클교육]오라클테이블 참조무결성, TABLE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데이터참조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에는 참조되는값(referenced value)이 delete 되거나 update 될 때 자식테이블의값(dependent value)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따라 다음과 같은 rule의 종류가 있다.
 
 
Restrict
Referenced value에 대해 deleteupdate를 허락하지 않음(DML문장의 끝이나 Transaction의 끝에 check)
Set to Null
Referenced value에 대한 deleteupdate를 하면서 모든 dependent valueNULL로 설정함
Set to Default
Referenced value에 대한 deleteupdate를 하면서 모든 dependent valueDefault value로 설정함
Cascade
Referenced valueupdate 될 때 dependent value를 같은 값으로 설정하고, delete 될 때는 dependent row들을 함께 delete .
No Action
Referenced value에 대해 deleteupdate를 허락하지 않음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개발자교육6년차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튜닝,힌트,자바프레임워크,안드로이드,아이폰,닷넷 실무개발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