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ORACLE JAV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ORACLE JAVA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8월 9일 금요일

[oraclejava community, oracle 강좌,oracle교육,구로디지털오라클]oracle date type

----------
Date Type
----------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1. 날짜를 가르키는 값을 Tanle에 저장. 세기를 포함하여 년,월,일시,분,초,등을 저장한다.

2. BC 4712년1월1일부터 AD 4712년 12월31일까지의 날자형식을 저장할수 있다.

3. 7 Byte의 고정길이 Column임.

4. Oracle의 기본날자 형식은 dd-mon-yy, NLS_DATE_FORMAT Parameter를 이용하여 기본형식을 변경할수 있다. 또는 Alter Session Command를 이용하여 해당 sssion기간동안 날자형식을 변경할수도 있다.

5. 표준 Oracle날자 형식이 아닌 형식의 입력을 위해서는 to_date 함수를 이용한다. to_date(‘november 13, 1992’,’month dd, yyyy’)

6. Oracle에서 시간은 24시간 형식(HH:MI:SS)으로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날자 Column의 시간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12:00:00 AM(자정)으로 저장된다. 만약 시간만 입력되면 해당월의 1일이 입력된다. Date의 time부분을 입력하려면 반드시 TO_DATE함수와 format mask를 이용해야 한다.

7.기본적으로 일자나 연산이 빈번히 경우 DATE 타입으로 가져가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시간이 정상적으로 입력된 경우 일자를 '=' 연산으로 비교할 수가 없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INSERT INTO EMP (EMPNO,ENAME,HIREDATE,DEPTNO)
        VALUES (7777,'BJKIM',TO_DATE('94/03/15 03:20:30','YY/MM/DD HH:MI:SS');

  와 같이 정상적으로 날짜를 입력한후

  SELECT * FROM EMP WHERE HIREDATE = '15-MAR-94';

  을 수행 하더라도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LIKE, SUBSTR등의 함수를
이용하여 스트링(string) 비교를 하고자 할때 제한적으로 밖에 사용할 수 없다. 즉 디폴트
날짜 형태를 기준으로만 비교 가능하다.

예 ) 81년에 입사한 인원을 찾고자 할때

      a.SELECT * FROM EMP WHERE HIREDATE LIKE '%81';
      혹은
      b.SELECT * FROM EMP WHERE SUBSTR(HIREDATE,8,2) = '81';
 
  와 같이 SQL문을 날짜 타입의 기본 형태인 'DD-MON-YY'을 기준으로 스트링 함수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 ) 만일 HIREDATE에 인덱스가 생성 되어 있을때 아래 2가지 SQL문을 수행하게 되면 a의 경우는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b의 경우에는 인덱스를 사용 못하는 일반적
인 문자 타입과의 차이점을 보인다.

SELECT * FROM EMP
WHERE HIREDATE1 = '01-MAR-81';

SELECT * FROM EMP
WHERE HIREDATE1 BETWEEN '01-JAN-81' AND '31-DEC-81';

의 경우는 내부적으로 비교되는 값에서 투데이트 함수를 이용하여 처리를 하지만
의 경우 컬럼 부분이 TO_CHAR을 이용하여 변동되기 때문에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
다.이와 같은 사항을 주의하여 쿼리문을 수행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자주 조건절
에 사용되거나, 데이트 연산 기록(logging), 타임 스탬프로 사용되는 컬럼을 제
외하고는 효과적인 수행을 위해 문자  타입 적용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013년 8월 8일 목요일

[오라클자바커뮤니티강좌교육]JAVA instance, static class 변수

이번 강좌에서는 자바에서의 변수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죠...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자바에서의 변수는 지역변수(local variables), 매개변수(parameters),클래스 범위에서 선언 한 인스턴스 변수(instance fields), 클래스 변수(class fields) 등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인스턴스 변수나 클래스변수나 전부 어떤 메소드(함수)안에서 선언되는 것이 아니라 메소드 밖에 선언되는 변수 입니다. 말이 틀리지만 그 쓰임새 또한 대단히 다르니 잘 아래의 내용을 발 봐두어야 합니다.

전 가끔 붕어빵 찍는 틀클래스로 비유하고 그 틀에 의해 찍혀 나오는 각각의 붕어(인스턴스)객체라고 비유 합니다. 붕어빵 찍는 클이 클래스라고 했으니 클래스 변수 붕어빵 찍는 틀과 관련이 있는 거죠... 즉 찍혀 나온 모든 붕어빵들이 공유하는 전역 변수로서 역할을 하며 또한 붕어를 만들어 내지 않아도 붕어빵 찍는 틀애 있는 것이니까 New 하지 않아도(붕어를 찍어 내지 않아도) 접근이 가능하죠... 즉 클래스 변수는 클래스이름.클래스변수명 으로 접근이 가능 한겁니다. 각각의 붕어를 찍어 낼때 팥의 양을 조절이 가능하다고 가정 할때 클래스변수가 아닌 인스턴스 변수팥의양을 둘 수가 있겠죠... 이건 붕어빵 찍는 틀(클래스)과 관련이 있는 변수가 아니라 찍혀 나온 붕어(인스턴스)들에 관련이 있는 변수 이므로 인스턴스 변수라고 하고 반드시 붕어를 찍어 낸 후(New 한 후) 접근이 가능한 변수가 되는 겁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아래를 보시면서 다시 한번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static이라는 키워드를 보는 순간 전역변수, 초기화가 한번만(붕어빵 찍는 틀과 관련이 있으므로), New 하지 안아도(붕어를 찍어 내지 않아도) 접근이 가능하며 즉 클래스이름.변수명... 잘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클래스 변수

클래스의 인스턴스(객체)가 아니라 그것이 정의된 클래스와 연관된다.
static 한정자는 이 변수(필드)가 클래스필드 임을 의미
상수를 정의하는것이 클래스필드의 일반적인 사용이다.public static final double PI=3.14159;
정적필드의 복사본은 오직 한 개 존재하며 전역변수로 사용 된다.
같은 클래스 내부에서는 PI로 지칭되며 클래스 외부에서 해당 변수(필드)를 유일하게 지칭하기 위해서는 클래스명.PI로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직접 참조가 가능(물론 인스턴스를 만든 후 객체참조변수.PI형태의 참조도 가능하다.)


인스턴스 변수

static으로 선언되지 않은 모든 변수(필드)는 인스턴스 변수 입니다. public double r;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연관, 생성된 모든 객체는 자신만의
복사본을 가진다.
클래스 내부에서 이름 하나만으로 지칭된다
public double r;
public double area() {
return PI * r * r;
}
클래스 외부에서는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한 객체.변수명 형
태로 사용한다. 인스턴스 필드(변수)의 값은 한객체를 다른
객체와 구분한다.
Circle c = new Circle(); c.r=2.0;
Circle c1 = new Circle(); c1.r=5.0;






[오라클자바커뮤니티]Struts Validation Rule 강좌, oraclejavanew.kr

Struts Validation Rule 


오라클자바커뮤니티에서 설립한 오엔제이프로그래밍 실무교육센터
(오라클SQL, 튜닝, 힌트,자바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아이폰, 닷넷 실무전문 강의)  




Validator Framework에는 두개의 설정 파일(validation.xml, validator-rules.xml)이 있습니다. 

===================================================
1.        validation-rules.xml
===================================================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전체적인 검증 규칙을 포함, 애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므로 다른 스트럿츠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 합니다.

기본적인 규칙을 수정하거나 확장하는 경우에만 이 파일을 수정 합니다.

파일의 구성을 살펴보면 ROOT ELEMENT인 <form-validation>은 한 개 이상의 global 요소를 필요로 합니다.

<!ELEMENT form-validation (global+)>
<!ELEMENT global (validator+) >

각각의 validator는 유일한 한가지의 검증 규칙을 나타냅니다. 다음은 required 규칙에 대한 선언 부분 입니다. 또한 validator 요소는 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합니다.

<validator name="required"
        classname="org.apache.struts.validator.FieldChecks"
        method="validateRequired"
        methodParams="java.lang.Object,
                      org.apache.commons.validator.ValidatorAction,
                      org.apache.commons.validator.Field,
                      org.apache.struts.action.ActionMessages,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msg="errors.required"/>

    name : 규칙의 논리적인 이름
    classname : 검증 로직을 포함하는 클래스
    method : 검증 로직을 포함하는 메소드
    methodParams : 메소드의 매개 변수
    msg : 리소스 번들의 키값
depends : 명시된 규칙 이전에 호출 해야 하는 검증 규칙
jsFunctionName :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명시,
기본적으로 Validator의 실제 이름을 주로 사용 합니다.


<intRange>규칙을 보면 depends 부분이 기술 되어 있는데 참고 바랍니다. 즉 정수 값의 범위를 체크하기 이전에 정수형인지 체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입니다.

<validator name="intRange"
            classname="org.apache.struts.validator.FieldChecks"
            method="validateIntRange"
            methodParams="java.lang.Object,
                      org.apache.commons.validator.ValidatorAction,
                        org.apache.commons.validator.Field,
                      org.apache.struts.action.ActionMessages,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depends="integer"
            msg="errors.range"/>

다음은 Validator Framework의 기본적인 리소스 번들의 키 입니다.

# Struts Validator Error Messages
  errors.required={0} is required.
  errors.minlength={0} can not be less than {1} characters.
  errors.maxlength={0} can not be greater than {1} characters.
  errors.invalid={0} is invalid.

  errors.byte={0} must be a byte.
  errors.short={0} must be a short.
  errors.integer={0} must be an integer.
  errors.long={0} must be a long.
  errors.float={0} must be a float.
  errors.double={0} must be a double.

  errors.date={0} is not a date.
  errors.range={0} is not in the range {1} through {2}.
  errors.creditcard={0} is an invalid credit card number.
  errors.email={0} is an invalid e-mail address.

-----------------------------------------
다음은 GenericValidator의 기본 검증 규칙 입니다.
-----------------------------------------

Table 4.1: Common Validator Rules
Rule Name(s)                        Description                                 
required            The field is required. It must be present for the  form to be valid.     
minlength          The field must have at least the number of characters as the
specified minimum length.
maxlength          The field must have no more characters than the specified
maximum length.
intrange, floatrange,
doublerange        The field must equal a numeric value between the min and max variables.
byte, short, integer, 
long, float, double  The field must parse to one of these standard  Java types (rules names
equate to the expected Java type).
mask              The field must match the specified regular expression (Perl 5 style).
date                The field must parse to a date. The optional variable datePattern
specifies the date pattern
(see java.text.SimpleDateFormat in the Java-Docs to learn how to
create the date patterns).
You can also pass a strict variable equal to
creditCard          The field must be a valid credit card number. None


==============================================
2.        validation.xml
==============================================


이 파일은 애플리케이션에 종속적이며 특정한 ActionForm에서 사용하는 validation-rules.xml 파일의 검증 규칙을 나타냅니다. 그러므로 ActionForm 안에서는 검증을 위한 별다른 소스의 변경이 필요 없다는 이야기가 되며 validation.xml 파일에서 검증 로직은 ActionForm 한 개 이상과 연동 됩니다.

XML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LEMENT form-validation (global*, formset+) >
<!ELEMENT global (constsnts*) >
<!ELEMENT formset (constant*, form+) >

Constants 요소는 자바 프로그래밍에서 상수를 선언하는 것과 매우 유사 합니다.

<global>
<constant>
<constant-name>phone</constant-name>
<constant-value>^\(?(\d{3})\)?[-| ]?(\d{3})[-
| ]?(\d{4})$</constant-value>
</constant>
<constant>
<constant-name>zip</constant-name>
<constant-value>^\d{5}(-\d{4})?$</constant-value>
</constant>
</global>

다음은 간단한 validation..xml 파일 입니다.

<form-validation>
<global>
<constant>
<constant-name>phone</constant-name>
<constant-value>^\(?(\d{3})\)?[-| ]?(\d{3})[-
| ]?(\d{4})$</constant-value>
</constant>
</global>
<formset>
<form name="checkoutForm">
<field
property="phone"
depends="required,mask">
<arg0 key="registrationForm.firstname.displayname"/>
<var>
<var-name>mask</var-name>
<var-value>${phone}</var-value>
</var>
</field>
</form>
</formset>
</form-validation>


<!ELEMENT formset (constant*, form+) >

한편 <formset> 이라는 요소는 <constant>와  <form> 이라는 두개의 요소를 포함 할 수 있는데 <constant> 요소는 <global> 섹션의 <constant>와 유사하여 생략도 가능 하지만 form 요소는 한번 이상 나타나야 합니다. (<formset> 요소는 국제화를 위한 language와 country를 지원 합니다.)

<form>요소는 하나 이상의 <field>를 포함할 수 있으며 XML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LEMENT form (field+)>

<field> 요소는 검증을 해야 할 자바빈의 특정 프로퍼티와 일치해야 하며 스트럿츠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자바 빈은 결국 ActionForm을 의미 합니다.

다음은 field의 속성 입니다.

property :    자바빈(혹은 ActionForm)에서 검증해야 할 프로퍼티 이름
depends :    field 요소에 적용 할 검증 규칙의 목록, 각 검증 규칙은 여러 개가 올 수 있으며 이럴경우 콤마로 구분, 검증이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모든 규칙을 만족 시켜야 합니다.
page :      자바빈이 대응 할 페이지, 자바빈은 page 속성이 속해 있는 form과 대응
indexedListProperty : 리스트를 읽어 가면서 필드를 검증 하는 경우에 이용


field 요소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요소를 포함 합니다.

<!ELEMENT field (msg?, arg0?, arg1?, arg2?, arg3?, var*)>

<msg> 요소는 리소스 번들의 키 값이며 이 값을 기본 메시지 대신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즉 검증이 잘못된 경우 이 메시지의 값이 출력 됩니다. msg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등록된 메시지가 출력 됩니다.  아래와 같은 메시지…

errors.required={0} is required.
  errors.minlength={0} can not be less than {1} characters.
  errors.maxlength={0} can not be greater than {1} characters.
  errors.invalid={0} is invalid.

또한 msg는 3개의 속성이 있는데…다음과 같습니다.

name : msg요소가 사용할 검증 규칙, 반드시 validation-rules.xml 파일이나 global 섹션에 명시한 규칙 이어야 합니다.

key : 검증 실패 시 ActionError에 추가 할 수 있는 리소스 번들의 키값, resource 속성을 false로 할 경우 리소스 번들을 사용하지 않고 key 속성에 문자열을 직접 넣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를 참고 하세요~

<field property="phone" depends="required,mask">
<msg name="mask" key="phone.invalidformat"/>
<arg0 key="registrationForm.firstname.displayname"/>
<var>
<var-name>mask</var-name>
<var-value>${phone}</var-value>
</var>
</field>


------------------------
Validator 플러그 인
------------------------

Validator Framework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truts-config.xml에서 PlugIn 설정을 해야 합니다.

<plug-in>
className="org.apache.struts.validator.ValidatorPlugIn">
<set-property property="pathnames" value="/WEB-INF/validator-rules.xml,/WEBINF/
validator.xml"/>
</plug-in>

스트럿츠 애플리케이션이 구동 할 때 ValidatorPlugIn 클래스의 init() 메소드가 호출되며 이 메소드가 실행 하면서 XML 파일의 Validator 리소스 들을 메모리에 적재 합니다. 

2013년 8월 4일 일요일

(오라클테이블)Oracle Table...

a. Oracle에서 Table은 Data저장 영역의 기본단위이다.
b. 선택적으로 Table의 각 Column에 규칙을 정할수 있는데 이를 Constraints(무결성제약조건)
이라고 한다.한예로 Not Null은 무결성제약조건 입니다.
c. Cluster화되지 않은 Table을 작성할때 Oracle은 Table의 향후 Data를 보관하기위해
TableSpace에 Data Segment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Data Segment에 대한 저장영역 매개변수를 설정하여 (initial, next parameter등) Data
Segment에 대한 할당된영역(extents)을 제어할수 있다.
Data Segment에 대해 pctfree와 pctused를 이용하여 Data Block의 빈영역에 대해 제어할
수도 있다.
d. 전체행을 단일 Data Block에 Insert할수 있다면 Oracle은 행을 하나의 행조각으로 저장하
나 전체행을 단일 Data Block에 Insert할수 없다면 기존 행을 갱신하여 행이 Data Block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Update된 Record가 이전의 Record보다 Size가 커지는 경우) Oracle은 여러 개의
행조각을 사용하여 Data를 저장한다. Oracle이 하나의 행을 두개이상의 행조각으로 저장하는 경우
Block을 통해 Chain화 되며, 체인화된 행조각은 부분의 RowID를 이용하여 서로 체인화 된다. 또한
체인화에 관계없이 각각의 행조각은 행/열 전체또는 일부에 대한 행 헤더 및 Data를 포함한다.

e. 행 헤더는 행조각,(체인화된 행조각의 경우)체인화, 행조각의 열,(Cluster인경우)클러스터
키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Block에 완전히 포함된 Cluster화 되지않은 행에는 적어도 3 Byte의 행헤더가 있으며,
행헤더 정보 다음에 열길이와 Data가 포함된다. 열 길이는 250 Byte이하를 저장하는 열의 경우
1 Byte,그이상인경우 3 Byte가 필요하며 열 Data에 선행한다.
열 Data에 필요한 영역은 Data Type에 따라 틀리며, 가변길이인 경우엔 영역은 증가또는 감소할수
있다.영역을 보존하기 위해 Null은 열길이(0)만을 저장한다. Oracle은 Null Column에 대한
Data를 저장하지 않으며 후행하는 Null의 경우 행헤더가 새로운 행의 시작을 나타내므로 열길이를
저장하지 않는다.(예를들어 Table의 마지막세개의 Column이 Null인 경우 열에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행은 Data Block헤더의 행 Directory에 2 Byte를 사용한다.

f. Column순서는 Table의 모든 행에 대해 동일 하다.일반적으로 열은 Create Table명령문에
나열된 순서대로 저장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예를들어 Long Data Type의 Column이 
있는 Table을 Create하는 경우 항상 이 Column을 마지막으로 저장한다. 또한 alter table
등의 명령으로 Column을 Add하는 경우 새로운 Column을 마지막에 추가한다.
일반적으로 행이 적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Null을 자주 포함하는 Column을 마지막에 두
는 것이 좋다 만약 Table이 Long Column을 포함하면 Long Column이 마지막에 위치 하
므로 이러한 이점을 살리기 힘들다.
g. ROWID는 각각의 행조각을 위치나 주소로 식별한다. 일단 행조각에 ROWID를 부여 하
면 행조각은 IMPORT 및 EXPORT Utility를 사용하여 행을 삭제할 때까지 ROWID를 보유 합니다.
행의 Cluster Key값이 변경되면 행은 유일한 ROWID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값에 대한 추가
포인터 ROWID를 얻는다.

h. Null은 행의 열에 값이 없음을 나타내는데 Data값을 가진 열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Null
 은 열길이(0)을 저장하는데 1 Byte가 필요함

[Table생성 예제]
create table test
(
 id  char(3)      not null,
 name varchar2(12)    null,
 addr varchar2(50)    null,
 constraint pk_test (id) primary key
 using index
 pctfree 10
 pctused 60
 storage
 (initial 100k next 100k)
 tablespace users_idx
)
storage
(initial 200k
next    200k
minextents 1
maxextents 121
pctincrease 0)
tablespace users;

2013년 8월 3일 토요일

SQL기초에서 활용 튜닝, 힌트 그리고 오라클 기본 관리자 역할까지 ORACLE의 알아야 하는 부분을 대부분 들여다 보는 오라클 핵신 실무 과정 입니다.

SQL기초에서 활용 튜닝, 힌트 그리고 오라클 기본 관리자 역할까지 ORACLE의 알아야 하는 부분을 대부분 들여다 보는 오라클 핵신 실무 과정 입니다.


강좌명 오라클 마스터(주말주간(토/일))
교재 자체 교재 무료 제공
강좌 일정 08월10일(토) ~ 09월01일(일)((주말주간(토/일)) 10:00~18:00, 8일) 총 56시간
강의 장소 [C강의장]구로디지털단지역2번 출구-> 미니스톱끼고 우회전 -> 100m 직진 후 골목길 끝에서 이마트방향 우회전 -> 50m 직진 후 우체국 옆골목으로 길건너서 직진 -> 150미터 직진 후 JnK 타워에서 우회전 -> 50미터 직진 후 우측에 코오롱빌란트2차 803호 (구로구 구로3동 222-8 코오롱디지털타워 빌란트2차 803호)
[약도보기]
수강절차 - 강좌내용 확인
- 전화 또는 홈페이지(www.onjprogramming.co.kr)를 통한 수강지원 및 수강료 결제(무통장입금, 온라인 카드결제)
- 고용보험 가입자(재직자)인 경우 고용보험환급 관련 서류 제출
- 수강전 : 커리큘럼 및 장소에 대해 다시 한번 공지
- 교육 전 설문 작성(간단한 개발 경력, 수강 목적, 강좌진행방식 등)
- 강좌 수강
- 수강후 : 교육 후 설문 작성
수강료 - 690,000원
[고용주환급]대기업:21만원 전후,중소기업:285,254원
[개인수강지원(개인환급)]정규직:552,000원, 비정규직:전액환급

대기업(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대기업)은 개인환급 불가합니다.


* 휴강 :법정공휴일
수강료
입금안내
- 온/오프라인 카드결제, 계좌이체(수강안내->입금안내 참조)
문의사항 02-851-4790 번으로 연락 부탁 드립니다.
교육개요 본 과정은 오라클 사용에 대해 불편을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 다양한 예제와 실습을 통해 오라클에 대한 내공을 키워가는 과정으로 오라클을 전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실무 활용능력을 높여 추후 자격증 취득이 필요한 경우 무난히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기본을 다지는 과정 입니다.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수강이 가능하도록 SQL기초부터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하여 기본적인 SQL부터 PL/SQL, 기본적인 Oracle Admin 과정인 오라클 서버 구조/아키텍처를 배움으로써 오라클 서버의 작동 원리 및 구조에 대해서도 학습하며 수업 중간중간 간단한 Oracle Tip등도 소개해 드립니다.

진정한 오라클 교육을 원하시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교육목표 - SQL 기본함수
- PL/SQL 사용법 습득(Function, Procedure)
- Oracle Schema Object 사용법(Table, Index, View, Sequence, Synonym, DBLink)
- Oracle Basic Administration
- DataBase Structure(Logical/Physical)
- Oracle Architecture
교육대상 -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초보 수준의 학생 및 직장인
- 오라클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
선수학습 - 데이터베이스 개론
 


SQL*Plus/iSQL*Plus 오라클설치
RDBMS 개념
SQL*Plus /iSQL*Plus사용법
SQL*Plus 기본
SQL 기본/고급 산술표현식 및 합성연산자
컬럼 Alias, ALL/Distinct 연산자
조건질의와 Order By
SQL연산자
집합연산자(Set Operator)
기본SQL 함수(문자/숫자/날짜관련)
Conversion Function
Analytical Function
Aggreate Function
GROUP BY, HAVING
Sub Query
Join(Outer Join, Self Join, Inner Join등)
고급SQL
- 효율적인 SQL작성 사례
- 집계용 함수사용 ( ROLLUP,CUBE,GROUPINGSET)
- 분석함수(Analytical Function) 사용
- 순환관계처리 및 병렬처리
- Oracle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Oracle Schema Object Table & Constraints
Index
데이터조작(Data Manipulation)
트랜잭션제어(Transaction Control)
데이터정의(Data Definition)
View, Index, Sequence, Synonym
Oracle User, Grant, Privilege, Role
오라클 구조 SGA(DataBase Buffer Cache, Redo Log Buffer, Shared Pool, Library Cache, Dictionary Cache, Large Pool, Java Pool)
PGA/UGA
Oracle Server Process(SMON, PMON, RECO, LMS, ARCH, LGWR, DBWR, CKPT, Pnnn, Dnnn등)
Shared Server & Dedicated Server
Logical Database Structure(Data Block, Extents, Segment, Tablespace)
Physical Database Structure(DataFile, Control File, Redo Log File, Parameter File, Temporary File)
고급 SQL(Hint) Oracle Hint 소개
Optimazer 소개(Rule-Based, Cost-Based)
Optimizer Mode 설정 방법
실행계획 소개 및 해석 방법
실행계획 SQL연산
Optimizer Mode를 변경하는 힌트
Access경로를 변경하는 힌트
Join순서를 변경하는 힌트
기타 Oracle Tip
 

ACCESS 경로를 변경하는 힌트(REWRITE), oracle hint 강좌 , oraclejava 강좌

ACCESS 경로를 변경하는 힌트(REWRITE)

구로디지털 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www.onjprogramming.co.kr 
 
이 힌트는 CBO에서 Matreriakized views(구체화뷰)에 대해 Query Rewrite가 일어나도록 하는 힌트인데 8i 이상부터 가능 합니다. REWRITE 힌트 구문에 VIEW가 인자로 와도 되고 안 와도 됩니다. 인자로 뷰 리스트를 주지 않는 경우 적절한 materialized view를 찾고 항상 비용(COST)과 관계없이 사용 합니다.

Materialized views라는 것이 DW(Data WareHouse)에서 집계 데이터 등을 추출할 때 쿼리 수행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것인데 Oracle에서 Query Rewrite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 되어야 합니다.

OPTIMIZER_MODE = ALL_ROWS or FIRST_ROWS or CHOOSE
QUERY_REWRITE_ENABLED = TRUE
COMPITABLE = 8.1.0 이상

사용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형식]




create materialized view  sum_sales
build immediate  
refresh complete  -- 만들어지자 마자 실행 가능한 상태로 원본테이블이 변경되면 모두 갱신함, FAST 갱신된 데이터만 반영, NEVER 반영안함
enable query rewrite  -- 오라클이 데이터 검색시 구체화뷰를 통해 검색하도록
as
select deptno,
       sum(sal) sum_sales
from   emp
group by deptno

만약 위 Query 실행 시 권한이 없다면서 에러가 난다면 관리자로 로그인 하여 다음과 같이 실습 계정에 권한을 주시기 바랍니다.

grant create any materialized view to scott;
grant global query rewrite to scott;
grant query rewrite to scott;
grant alter any materialized view to scott;

MVIEW를 사용하지 않는 모양의 질의를 한번 볼까여

위와 같이 한 후 다음과 같은 SQL문을 실행 합니다.

select deptno, sum(sal)
from   emp
group by 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3                        4
  HASH GROUP BY                        3           15         4                                   
    TABLE ACCESS FULL             SCOTT.EMP        15         75         3                                                     

우선 세션 레벨에서 query_rewrite_enabled true 바꿉니다.

alter session set query_rewrite_enabled=true;


select
       deptno, sum(sal)
from   emp
group by deptno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4                        3
MAT_VIEW REWRITE ACCESS FULL         SCOTT.SUM_SALES         4           104       3 

위 실행 계획을 보면 EMP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고 SUM_SALES라는 MVIEW를 이용하여 실행 계획이 만들어 짐을 알 수 있습니다.



[실습]

-      실습을 위한 예제 테이블 및 데이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myemp1 : 1000만건
myemp1_old : 100만건
mydept : 5

테스트환경 : oracle 11g


우선 구체화뷰를 만들지 않고 CBO, RBO 경우 아래의 쿼리를 날려보자.

select e.deptno,
       avg(sal) sal_sum
from   myemp1 e, mydept1 d
where  e.deptno = d.deptno
group by e.deptno;


SQL>alter session set optimizer_mode = choose  --myemp1통계정보 있으니 CBO로 동작

SQL> select e.deptno,
  2         avg(sal) sal_sum
  3  from   myemp1 e, mydept1 d
  4  where  e.deptno = d.deptno
  5  group by e.deptno;

    DEPTNO    SAL_SUM
---------- ----------
         0   999997.5
         1   999998.5
         2   999999.5
         3  1000000.5
         4  1000001.5

   : 00:00:07.93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1 |    41 | 17484   (4)| 00:03:30 |
|   1 |  SORT GROUP BY NOSORT  |          |     1 |    41 | 17484   (4)| 00:03:30 |
|   2 |   MERGE JOIN           |          |    10 |   410 | 17484   (4)| 00:03:30 |
|   3 |    SORT JOIN           |          |     5 |   140 | 17480   (4)| 00:03:30 |
|   4 |     VIEW               | VW_GBC_5 |     5 |   140 | 17480   (4)| 00:03:30 |
|   5 |      HASH GROUP BY     |          |     5 |    35 | 17480   (4)| 00:03:30 |
|   6 |       TABLE ACCESS FULL| MYEMP1   |    10M|    66M| 16961   (1)| 00:03:24 |
|*  7 |    SORT JOIN           |          |    10 |   130 |     4  (25)| 00:00:01 |
|   8 |     TABLE ACCESS FULL  | MYDEPT1  |    10 |   130 |     3   (0)| 00:00:01 |
---------------------------------------------------------------------------

8초 정도 걸렸다.

이번에는 RBO로 붜리를 실행해 보자. (2분 넘는다)

SQL> alter session set optimizer_mode = rule

SQL> select e.deptno,
  2         avg(sal) sal_sum
  3  from   myemp1 e, mydept1 d
  4  where  e.deptno = d.deptno
  5  group by e.deptno;

    DEPTNO    SAL_SUM
---------- ----------
         0   999997.5
         1   999998.5
         2   999999.5
         3  1000000.5
         4  1000001.5

   : 00:02:17.53

-----------------------------------------------------------
| Id  | Operation                     | Name              |
-----------------------------------------------------------
|   0 | SELECT STATEMENT              |                   |
|   1 |  SORT GROUP BY                |                   |
|   2 |   NESTED LOOPS                |                   |
|   3 |    NESTED LOOPS               |                   |
|   4 |     TABLE ACCESS FULL         | MYDEPT1           |
|*  5 |     INDEX RANGE SCAN          | IDX_MYEMP1_DEPTNO |
|   6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MYEMP1            |
-----------------------------------------------------------

지금 부터는 물리뷰를 만들어서 실습하자.
Materialized views를 하나 만듭니다.


SQL> create materialized view  avg_myemp_sales
  2  build immediate
  3  refresh complete
  4  enable query rewrite
  5  as
  6  select e.deptno,
  7         avg(sal) sal_sum
  8  from   myemp1 e, mydept1 d
  9  where  e.deptno = d.deptno
 10  group by e.deptno;
구체화된 뷰가 생성되었습니다.


n  이번에는 구체화 뷰를 사용 안하고 질의해 보자. 엄청 시간 걸린다.(거의 3)
n  뷰를 만들지 말고 먼저 질의 해 보라.



SQL>
SQL>-- 뷰를 사용하도록 힌트 구성(힌트를 안써도 구체화뷰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 올 것이다.)
SQL> select /*+ rewrite(avg_myemp_sales)  */e.deptno,
  2         avg(sal) sal_sum
  3  from   myemp1 e, mydept1 d
  4  where  e.deptno = d.deptno
  5  group by e.deptno;

    DEPTNO    SAL_SUM
---------- ----------
         0   999997.5
         1   999998.5
         2   999999.5
         3  1000000.5
         4  1000001.5

   : 00:00:00.23  -- 바로 나온다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5 |   130 |     3   (0)| 00:00:01 |
|   1 |  MAT_VIEW REWRITE ACCESS FULL| AVG_MYEMP_SALES |     5 |   130 |     3   (0)| 00:00:01 |
---------------------------------------------------------------------------------------------- 

[Oracle Hint]ACCESS 경로를 변경하는 힌트(NO_INDEX) , ORACLE, JAVA 교육, 강좌

ACCESS 경로를 변경하는 힌트(NO_INDEX)

구로디지털 오엔제이프로그래밍실무교육센터


이 힌트의 인자로 주어진 인덱스를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인데 인덱스를 인자로 안주고 테이블만 인자로 준다면 그 테이블에서 생성된 어떠한 인덱스도 사용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형식]


[인덱스를 사용하는 경우]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ENAME LIKE 'S%';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2                        2
  TABLE ACCESS BY INDEX ROWID            SCOTT.EMP        2           18         2            
    INDEX <st1:placetype w:st="on">RANGE</st1:placetype> SCAN   SCOTT.IDX_EMP_ENAME 2                        1                                                     

[NO_INDEX를 사용하는 경우]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ENAME LIKE 'S%';

--------------------------------------------------------------------
Operation            Object Name      Rows     Bytes    Cost     
------------------------------------------------------------------
SELECT STATEMENT Optimizer Mode=ALL_ROWS             2             3
  TABLE ACCESS FULL SCOTT.EMP    2      18     3                                     

[]
SELECT  employee_id 
FROM employees 
WHERE employee_id > 200; 
 
 
 
[실습]

-      실습을 위한 예제 테이블 및 데이터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myemp1 : 1000만건
myemp1_old : 100만건
mydept : 5

테스트환경 : oracle 11g
 
 
RBO(rule based optimizer)로 동작 시키면서 테스트 해 보자.
 
아래 실습에서 where절에 출현되는 deptno 0,1,2,3,4중 한 값으로 myemp1 1000만 건의 데이터 중 각 부서값의 분포도는 20% 정도 된다. 즉 각 부서별 200만건 정도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래서 일반 B*Tree 인덱스로 이용 하긴 좀 그렇다. 인덱스 태우면 오히려 더 느리다.
 
SQL> alter session set optimizer_mode = rule;
 
세션이 변경되었습니다.
 
n  실행계획만 보기 위해
SQL> set autotrace on explain
 
SQL> select count(ename)
  2   from  myemp1
  3  where deptno = 1;
 
COUNT(ENAME)
------------
     2000000
 
   : 00:00:16.98  -- 인덱스를 타니  시간이 많이 걸린다.
----------------------------------------------------------
| Id  | Operation                    | Name              |
----------------------------------------------------------
|   0 | SELECT STATEMENT             |                   |
|   1 |  SORT AGGREGATE              |                   |
|   2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MYEMP1            |
|*  3 |    INDEX RANGE SCAN          | IDX_MYEMP1_DEPTNO |
----------------------------------------------------------
 
 
이번에는 인덱스를 안 태우기 위해 no_index 힌트를 사용하자.
 
SQL> select  count(ename)
  2   from  myemp1
  3  where deptno = 1;
 
COUNT(ENAME)
------------
     2000000
 
   : 00:00:08.79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1 |    15 | 16966   (1)| 00:03:24 |
|   1 |  SORT AGGREGATE    |        |     1 |    15 |            |          |
|*  2 |   TABLE ACCESS FULL| MYEMP1 |  2000K|    28M| 16966   (1)| 00:03:24 |
-----------------------------------------------------------------------------
 
 
 
 
n  아래는 myemp1 테이블의 어떠한 인덱스도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
SQL> select  count(ename)
  2   from  myemp1
  3  where deptno = 1;
 
COUNT(ENAME)
------------
     2000000
 
   : 00:00:08.84
 
-----------------------------------------------------------------------------
| Id  | Operation          | Name   | Rows  | Bytes | Cost (%CPU)| Time     |
-----------------------------------------------------------------------------
|   0 | SELECT STATEMENT   |        |     1 |    15 | 16966   (1)| 00:03:24 |
|   1 |  SORT AGGREGATE    |        |     1 |    15 |            |          |
|*  2 |   TABLE ACCESS FULL| MYEMP1 |  2000K|    28M| 16966   (1)| 00: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