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ver 구문
recover 명령은 복구 과정에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DB를 복구하는 명령으로 DB가 마운트 상태와 오픈 상태에서 각각 다른 명령을 사용 합니다.
- mount 상태
recover database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alter database recover database
- open 상태
recover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이름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alter database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recover명령을 수행하면 오라클은 아카이브 로그를 읽어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는데 이때 로그 파일의 적용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능 합니다.
- 자동
recover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필요한 아카이브 로그 파일을 자동으로 적용 가능 합니다.
SQL>set autorecovery on
또는 recover 명령 수행 중에 파일을 입력하는 부분에서 Auto를 입력 합니다.
- 수동
recover 명령 수행 중 파일을 요청 하는 부분에서 엔터를 입력 합니다.
Specify log : [<RET>=suggested | filename | AUTO | CANCEL
recover 명령은 아카이브 로그 파일을 LOG_ARCHIVE_DEST에서 찾는데 만약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이 되지 않거나 아카이브 로그를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한 경우에는 recover 구문을 실행할 때 아카이브 로그 파일의 위치를 아래 세가지 방법 중 하나로 통보 받아야 합니다.
- recover 프롬프트에서 경로와 이름 입력
Specify log:[<RET>=suggested | filename | AUTO | CANCEL
- recover 명령 이전에 archive log 위치 변경
alter system archive log start to ‘새로운경로’
- recover 명령에 새로운 경로 지정
recover from ‘새로운 경로’ database
recover 명령은 복구 과정에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DB를 복구하는 명령으로 DB가 마운트 상태와 오픈 상태에서 각각 다른 명령을 사용 합니다.
- mount 상태
recover database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alter database recover database
- open 상태
recover tablespace 테이블스페이스이름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alter database recover datafile ‘데이터파일명’
recover명령을 수행하면 오라클은 아카이브 로그를 읽어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는데 이때 로그 파일의 적용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능 합니다.
- 자동
recover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필요한 아카이브 로그 파일을 자동으로 적용 가능 합니다.
SQL>set autorecovery on
또는 recover 명령 수행 중에 파일을 입력하는 부분에서 Auto를 입력 합니다.
- 수동
recover 명령 수행 중 파일을 요청 하는 부분에서 엔터를 입력 합니다.
Specify log : [<RET>=suggested | filename | AUTO | CANCEL
recover 명령은 아카이브 로그 파일을 LOG_ARCHIVE_DEST에서 찾는데 만약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이 되지 않거나 아카이브 로그를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한 경우에는 recover 구문을 실행할 때 아카이브 로그 파일의 위치를 아래 세가지 방법 중 하나로 통보 받아야 합니다.
- recover 프롬프트에서 경로와 이름 입력
Specify log:[<RET>=suggested | filename | AUTO | CANCEL
- recover 명령 이전에 archive log 위치 변경
alter system archive log start to ‘새로운경로’
- recover 명령에 새로운 경로 지정
recover from ‘새로운 경로’ database
| 12-27 | 2156 | |||
| 12-11 | 1556 | |||
| 53 | 03-15 | 1347 | ||
| 52 | 01-31 | 1463 | ||
| 51 | 01-31 | 1532 | ||
| 50 | 01-31 | 1167 | ||
| 49 | 01-19 | 1471 | ||
| 48 | 01-11 | 1297 | ||
| 47 | 01-03 | 1799 | ||
| 46 | 12-27 | 2156 | ||
| 45 | 12-19 | 1561 | ||
| 44 | 12-14 | 1537 | ||
| 43 | 12-11 | 1556 | ||
| 42 | 12-09 | 1247 | ||
| 41 | 12-01 | 1470 | ||
| 40 | 12-01 | 1606 | ||
| 39 | 12-01 | 1119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